한나라당 주호영 의원은 "올해 제주지방법원에서 제주대 병원 총무과장이 배임수재 혐의로 판결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판결문을 보면 총무과장은 2000년부터 2003년까지 29회 동안 약품구입 명목으로 수뢰를 받았다"고 지적했다.
또 주 의원은 "판결문에는 총무과장이 위선의 지시로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내용이 나온다"며 "그 윗선은 누구냐"고 따져물었다.
이에 대해 김상림 제주대병원장은 "총무과장은 집행유예를 선고받았고, 재판받는 과정에서 정년퇴직을 했다"며 "윗선이라는 분은 아마 당시 병원장과 사무국장일 것"이라고 답변했다.
주 의원은 "누가 비자금을 조성했는 지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며 "병원장과 사무처장이 비자금을 조성했다면 병원에서 조사해 봤느냐"고 질타했다.
김 원장은 "병원장은 정년으로 퇴직한 상태"라며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조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주 의원은 "법원에서 윗선의 지시로 비자금을 조성했다고 판결했는데 판결문이 맞다면 당연히 시정하고 처벌해야 되지 않느냐"며 "이것은 분명히 밝혀야 하고, 그만둔 병원장도 사법처리 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 종합감사 전까지 보고하라"고 지적했다.
김 원장이 구체적인 답변을 피해가자 열린우리당 김영춘 의원과 최재성 의원도 제주대 병원의 비리추궁에 가세했다.
김영춘 의원은 "제주대병원이 독립법인이지만 제주대에서 감사할 수 있는 것 아니냐"며 "병원 자체에서 감사를 하지 않으니 제주대에서라도 한번 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고충석 총장은 이에 "제주대 총장은 병원 이사장으로서 포괄적 책임을 갖고 있다"며 "이사장 자격에서 감사를 검토해 보겠다"고 답변했다.
최재성 의원도 "제주대병원 사후조치를 다하지 않았다. 이런 문제 하나가 제주에 대한 애정을 끊게 만든다"며 "제살을 도려내는 모습을 보여줘야 제주지역 사회의 피해가 없고, 우리가 도와줄 수 있다"고 거들었다.
김 원장이 비리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을 회피하자 급기야는 권철현 위원장까지 가세했다.
권 위원장은 "만약 제주대병원에서 자체 감사를 하지 않는다면 교육부 감사를 요청할 것이며, 나아가 감사원에 제주대병원 감사 요청을 할 수도 있다"며 "나중에 구체적인 감사내용을 교육위에 보고하라"고 주문했다.
그런데 제주대병원 전 총무과장 신모씨(60)는 이 의료장비 도입 납품과 관련, 총 29회에 걸쳐 4500만원을 수수해 배임수재 혐의로 지난 1월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바 있다 .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