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장이나 책임있는 간부들의 이름은 물론 사무실 위치나 사무실 전화번호도 명시하지 않은 채 나온 이 선전물에서 유치위원회는 “해군기지가 있는 미국 센디에고, 하와이 호주 시드니는 관광미항이자 대규모 해양스포츠 메카”라고 강조했다.
유치위원회는 “중앙정부는 해군기지 문제해결에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임해주시길 바란다”며 “해군기지를 위해 제주도민이 양보하는 만큼 중앙정부 차원에서 제주에 보다 많은 지원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올해 1월과 9월에도 언론사의 여론조사 결과가 찬성이 과반수를 넘었다”며 “제주도정은 조속히 해군기지 건설을 약속해주기 바란다”고 적었다.
그런데 유치위원회는 이 부분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반대 자체가 목적인 일부 언론과 시민단체의 목소리, 더 이상 제주도민 전체의 목소리로 받아들여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치위원회는 이어 군사기지 반대운동이 전국 시민단체들의 연대투쟁으로 비화하는 쟁점으로 확산되는 것을 전제로 한 듯, “제주도민이 아닌 외부단체에서 우리의 문제를 왈가왈부하는 것을 좌시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유치위원회가 어떤 근거로 '반대 자체가 목적인 일부 언론과 시민단체'라는 표현을 사용했는지에 대해 분명한 설명이 있어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또 유치위원회가 전국 시민단체간의 연대를 경계하는 점 역시 지나치게 경직된 단면을 드러내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유치위원회의 이같은 표현은 시민운동을 마치 '반대' 그 자체가 목적인 것인처럼 매도할 뿐만 아니라, 공정성과 객관성. 사실성을 담보로 하는 언론 기사에도 도민들이 오해할 소지가 많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