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13년까지 도내 발전소 건설 계획
제주지역에 액화천연가스(LNG) 공급 결정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하지만 LNG 공급에 반대하는 제주도내 LPG 판매사업자들에게 제주도가 거액의 예산을 들여 LPG 관련 사업을 지원해주기로 해 특혜논란도 일고 있다. 3일 제주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2003년부터 제주국제자유도시에 걸맞는 전력 및 가스 등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제주지역에도 LNG 발전소를 건설해 주도록 정부 및 정치권 등에 20여회 넘는 건의 및 절충을 벌여왔다.
이에 산업자원부는 지난 8월말 제주지역 전력 장기 공급방안으로 사업의 원만한 추진을 위한 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 의결을 전제로 2011년까지 해저 송전선로 추가건설과 함께, LNG 발전소 건설 방침을 발표한 데 이어 지난 달 7일 개최한 공청회의 제3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시안에서도 2013년까지 제주지역 LNG 발전소 건설계획을 확정했다.
정부는 앞으로 대통령 직속의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전력수급위원회 심의를 거쳐 늦어도 11월 초까지 확정하는 제3차 전력수급 기본계획(‘06~’20)에 제주지역 LNG 발전소 건설계획을 포함시킬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제주도만 유일하게 LNG 공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한국가스공사는 이에 따라 내년도에 전문연구 용역을 통해 LNG 인수기지 후보지 및 배관망 건설계획(안)을 마련한다는 복안이다.
여기에는 제주도 및 지역주민 협의·설명 등을 통해 계획을 확정하고, 가스공사 자체 재원으로 사업을 추진해 나가게 된다.
제주도는 이와함께 LNG 제주 공급에 반발, 기존 LPG판매사업자들이 도청 앞 시위 등을 통해 강력 반발하자 LPG 사업자들을 위해 물류배송센터 건설을 대폭 지원해 줄 방침이다. 현재 LPG 판매업자들은 제주시내 주택가에서 LPG 판매사업을 함으로서 주민들이 소음과 안전성 의문에 민원을 수시로 제기하는 바람에 곤욕을 겪고있다.
이에 따라 LPG 판매업자들은 제주시 외곽지역에 가스통 등을 수용할 물류배송센터 건립사업을 적극 희망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 막대한 도 예산이 지원케 됨으로서 도가 LPG 업자들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예산특혜‘를 주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일고 있다.
현재 제주도내에는 LPG 충전소(대리점) 2곳, 가스판매 소매상 98곳, 자동차 충전소 28곳 등 모두 128곳의 LPG 관련업소가 영업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