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전역 친환경농업단지화를 위한 모델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광역친환경농업단지 조성사업이 출발부터 문제가 되고 있다.
2일 제주시에 따르면 광역친환경농업단지를 조성, 육성하기 위해 2007년 후보지로 선정된 애월읍 봉성리지역 주민들이 최근 친환경농업단지 조성 포기서를 농림부에 제출한 것.
애월읍 봉성리지역은 오는 2007년 480만평에 친환경 농.축산물 생산시설 및 장비, 경축순환자원화센터, 산지유통시설 및 장비, 교육 및 관광기반시설 등을 조성할 계획으로 농림부로부터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봉성리는 지난 7월25일 마을원로와 주민, 추진위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토론회를 개최한데 이어 지난달 10일 주민 124명이 참석한 가운데 임시총회를 갖고 이 사업과 관련 찬.반투표를 실시했다.
하지만 94명의 주민이 반대하면서 결국 같은달 22일 사업 포기서를 제출했다.
전국 28개 지역이 후보지로 선정되면서 무려 10대1에 가까운 경쟁률을 보이는 등 최종 후보지 선정을 낙관할 수 없는 상황에서 봉성리지역 주민들의 단지 조성 포기서 제출로 사업 추진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민들은 친환경농업단지로 조성되면 농업진흥지역처럼 이 일대 땅값이 크게 떨어지고 재산권 행사에도 막대한 지장을 받을 것으로 인식, 단지 조성을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지역주민들의 친환경농업에 따른 의지부족도 한 몫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와 관련 제주시 관계자는 “친환경농업단지로 조성된다 하더라도 재산권을 행사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고 말하고 있으며 제주도 관계자는 “재산권 행사에는 문제가 없지만 환경등급(GIS)이 현재 4등급에서 1~2등급 정도 상향 조정된다”고 말했다.
제주도 핵심산업인 청정 1차산업의 원활한 추진과 친환경농업시범도 완성은 결국 행정당국이 지역주민들을 상대로 한 홍보부족과 함께 성급한 사업 추진으로 물거품으로 끝날 우려가 높게됐다.
또 오는 2008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일원과 함께 2009년 제주시 조천읍 신촌리, 2010년 노형.외도 등 3개지역이 친환경농업단지 조성사업지로 선정된 상태에서 봉성리지역 주민들의 단지 조성 포기서 제출이 나머지 3개지역에도 영향을 주지 않을까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편 친환경농업단지조성사업은 올해 울진과 순천, 원주 등 3개 지역이 시범 실시되고 있으며 지역별로 사업비 100억원이 투입됐다. 사업비는 국비가 50%, 지방비 40%, 자부담 10%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