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부 한ㆍ미 FTA 4차 협상 '방향'…감귤농가 ‘초미관심’
농림부는 내달 하순부터 제주에서 열리는 한.미 FTA4 차 협상을 앞두고 수입액과 관세율, 수입비중 등에 근거해 상대적으로 피해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품목은‘유연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으로 알려져 감귤을 포함한 농산물 품목 협상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 23일 제주대학교 국제교류회관에서 열린 ‘한미FTA와 제주감귤 협상전략에 관한 특별 세미나’에서 농림부 배종하 국제농업국장은 한미FTA 협상 개요와 농산물 양허협상 방향, 제3차 협상 결과를 설명하는 과정에서‘농산물 양허협상 방향’에서 이같이 소개한 뒤“축산물과 과일 중에서 민감도가 높은 품목은 다양한 양허전략으로 피해를 최소화 하겠다”고 말했다.
배 국장은 이어 “협상이 중반이후로 접어들어 제4차 협상부터 협상 속도가 빨라질 가능성에 대해서도 면밀하게 대비 하겠다”고 밝혔다.
배 국장은 또“품목단체 등 농업계에 우리측 양허안에 대한 미국측의 반응과 관심사항을 상세하게 전달하고 의견을 수렴하는 등 앞으로도 협상과정의 투명성 확보를 통해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 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김태환 제주지사는 이날 세미나에 앞서 도청을 예방한 배 국장에게 “감귤류가 한미FTA 협상품목에서 끝까지 제외될 수 있도록 각별히 배려해 달라”고 요청했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서 제주대 고성보 교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감귤류 수입관세 즉시 철폐를 가정하고 산출한 제주감귤 피해액(연간 676억∼930억원)은 제주대 용역팀이 추정한 피해액(2천156억원)의 50%에도 못미친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