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1차산업 개방 확대 강력요구…농민들 잠 설쳐
내달 23일부터 한국에서 열리는 제4차 한.미 FTA협상을 앞두고 우리측이 회담전 ‘농산물 양허안’을 수정 제시할 예정인 가운데 미국이 한국의 취약분야인 농산물시장 개방 확대를 강력하게 요구하면서 감귤농가들이 또 불안해 하고 있다. 미국이 그동안 자국산업 보호를 위해 강경기조를 유지해 온‘섬유개방’문제에서 한 발짝 후퇴하는 대신 우리정부가 그동안 굳게 고수하고 있는 농산물 분야의 개방을 다각도로 압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감귤농가들은 정부가 그동안 전체 1481개 농산물 가운데 감귤을 포함해 284개 품목을 ‘민감품목’으로 지정해 온 현재까지의 입장에서 벗어나 민감 품목을 재조정하는 과정에서 자칫 감귤을‘건드릴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는 것이다.
제주도와 감귤특별대책위원회는 13일 농림부장관에게 제출한 건의문을 통해“이번 한미 FTA 3차 본 협상에서 농산물 분야 양허안 내용에 대한 미국측이 재조정요구로 4차 본 협상 전에 검토한다는 내용을 접한 제주 감귤재배 농가들은 당초 관세철폐 예외품목으로 분류됐던 감귤의 지위가 흔들리지 않을까 염려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제주도와 대책위는 이어“감귤의 문제는 제주도민이 먹고사는 생존에 관한 문제이며, 감귤산업의 몰락은 곧 국가단위의 경제혼란을 초래하는 시발점이 된다는 것이기에 100만 제주인은 감귤산업은 반드시 지켜야 된다는 강한 의지로 결의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주도와 대책위는“농산물 시장 개방화에 대응해 감귤이 살아남기 위해 그동안 피눈물 나는 자구노력과 지치도록 몸부림을 쳐온 감귤농가와 제주도민의 노력에 조금만 더 힘을 보태 주실 것을 간청 드린다”면서“오렌지 등 감귤류가 당초처럼 한미 FTA 협상 대상 품목에서 반드시 제외될 수 있도록 건의 한다”고 밝혔다.
제주도와 대책위는 이날 건의서 전달과 함께 한.미 FTA 3차협상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파악, 대응논리를 개발하는 한편 한.미 FTA 협상단을 지속적으로 방문해 제주감귤이 협상제외 품목이 될 수 있도록 요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