곳곳이 토막난 해안도로
곳곳이 토막난 해안도로
  • 한경훈
  • 승인 2006.08.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업 주체 달라 지역간 '엇박자' …관광도로 구실 못해
도내 해안도로 개설사업 진척상황이 지역에 따라 확연한 차이를 보이면서 지역불균형 발전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사업구간 곳곳이 단절돼 관광도로서의 효용성도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22일 서귀포시에 따르면 1990년대 들어 해안경관을 관광 자원화하고 지역주민의 소득창출을 돕기 위해 도 전역을 잇는 총 158km에 대한 해안도로 개설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지역간 사업추진에 큰 차이를 보여 균형적인 지역발전을 저해하면서 미개설 지역주민의 민원을 사고 있다.
현재까지 도로개설 현황을 보면 제주시 관내의 경우 총연장 76km 중 90.1%(68.5km)가 마무리된 반면에 서귀포시지역은 총 82km 가운데 62.2%(51km) 완료에 그치고 있다.
이 같은 결과가 빚어 진 것은 사업주체가 달랐기 때문. 해안도로는 도 전역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인 만큼 당초 ‘지방도’로 지정, 도에서 추진하는 게 바람직했다.
그러나 현실은 ‘시ㆍ군도’로 지정해 각 시ㆍ군에서 각기 사업을 추진한 결과, 지역간 엇박자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더 큰 문제는 해안도로 단절현상이 곳곳에 나타나 관광도로서의 구실을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서귀포시 관내의 경우 남원~태흥(5.3km), 위미~신성동(4.7km), 강정~월평(6.7km) 등 단절구간이 9곳이나 된다.
서귀포시는 이들 미개설 구간에 대한 사업에 나선다는 방침이지만 사업비 확보가 여의치 않아 마무리 시점을 점치지가 어려운 실정이다.
당장 서귀포시는 올해 사업비 40억원을 들여 하효~보목동간 1.7km에 대한 개설계획을 잡아놓고 있지만 확보된 예산은 20억원 뿐이다.
결국 제주도가 의지를 보이지 않은 한 해안도로 개설 지역차별 현상은 쉽게 해소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지역균형 발전의 측면에서 해안도로는 타 도로보다 우선해야 할 사안”이라며 “올해 사업의 경우도 특별교부세가 지원될 수 요로에 건의하는 등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