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삼겹살이 금(金)겹살이다. 과일과 채소류 가격도 급등했다.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말 100g당 1400원이던 삼겹살은 최근 1700-1800원까지 치솟았다. 이는 국내 양돈농가가 감소했을 뿐 아니라 삼겹살 수입증가세가 크게 꺾인 때문이다.
관세청이 발표한 돼지고기 수입동향에 따르면 올들어 7월까지 돼지고기 수입량은 18만8848t으로 전년동기대비 18.9% 증가했다. 이는 2004년 44.2%, 2005년 49.4%를 기록한데 이어 최근 3년동안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특히 올해 전체 돼지고기 수입량의 26.7%를 차지하는 삼겹살의 수입증가율은 더 큰 폭으로 떨어졌다. 삼겹살은 올 7월까지 5만387t이 수입,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9.1%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는 2005년 24.4%와 2004년 38.6%에 비하면 각각 15.3%p, 29.5%p 떨어진 것이다.
올해 삼겹살 수입 증가율이 낮아진 것은 주요 수입 대상국인 칠레의 돼지고기 생산량이 감소한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 유럽산 돼지고기의 품질이 가격에 비해 떨어져 국내소비가 감소했다.
여기에다 오는 10월게 미국산 쇠고기 수입재개에 대비, 육류 수입업체가 쇠고기 수입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돼지고기 수입을 줄인 것도 가격상승의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과일류는 전년동기대비 12% 증가한 38만2549t이 수입됐다. 수입량 증가율이 전년동기대비 높은 과일은 대추야자(2368%), 자두(706%), 맹고(54%)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감귤은 100% 줄어든 것을 비롯 멜론 61%, 무화과 34%, 감 17%, 살구 15% 각각 감소했다.
특히 최근 시중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수박의 경우 국내수입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다 지난달 장마와 폭우로 국내 생산량이 절대 부족, 가격이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돼지고기와 함께 최근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채소류는 전년동기대비 0.3% 감소한 27만1456t이 수입됐다. 삼겹살, 목살 등 돼지고기와 함께 먹는 상추, 양파, 마늘 등의 수입 감소로 이들 채소류의 가격이 급등, 국내 고기전문 음식점 및 일반소비자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올해 채소류의 수입의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은 주요 수입 대상국인 중국의 수해로 인한 출하량 감소, 고유가로 인한 운임비 상승, 중국산 채소류에 대한 국내소비 감소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