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3척 감척계획에 신청자 폭주...127명 ‘대기’ 진풍경
소형어선을 운영하면서 바다를 기반으로 생활해 온 연근해 어선어민들이 잇따라 바다를 떠나고 있다. 사상 최고의 고유가 사태로 경영압박을 받고 잇는데다 3D현상으로 어선 종사자마저 모자라 어선경영을 포기하는 어민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유류비 상승에 따른 추가 비용지출과 인력확보 곤란 등 경영난이 가중되면서 소규모 어선어업 자체가 급격하게 후퇴하고 있다.
제주도는 2008년까지 도내 3000여척에 이르는 연안어선 가운데 10%를 줄이기로 하고 올해 국비 57억원과 지방비 14억원 등 모두 71억2500만원이 투입되는 연언어산 감척사업을 시작했다.
그 결과 현재 173척의 어선이 감척대상으로 선정돼 이 가운데 89척은 폐선이 완료됐으며 84척은 폐선처리 중이다.
그러나 감척사업에 선정되지 못한 127명의 어선주들은 자신들이 감척대상에 포함되기만을 기다리며 조업을 사실상 중단했다.
이들 어민들은 예비 감척후보자로 지정,관리 되고 있다.
제주도는 해양수산부가 올해 전국적으로 연근해어업구조정사업비 524억원을 확보했으나 이 가운데 집행 잔액 34억원을 추가로 배정받기 위해 중앙절충작업에 착수했다고 20일 밝혔다.
이에 앞서 제주도는 지난해 35억2200만원을 투입, 68명의 어민이 보유하고 있던 68척의 연안어선을 감척했다.
제주도는 연안어선 감척사업과 관련, 최근 2년간 본인명의로 어선을 소유한 어민과 최근 1년간 60일이상 조업어민 및 허가받은 어선과 실제 어선이 일치한 어민 등을 우선 감척대상에 포함했다.
제주도관계자는 “상당수 어민들이 최그 어황부진과 고유가 등으로 경영난을 겪고 있다”면서 “획기적인 여건변화가 없을 경우 어촌경제의 부진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