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예비실사단 간담회
제주자연유산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하기 위해서는 제주도민들의 이에 대한 공감대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자연유산으로 등재가 신청된 인근지역 주민들의 의지가 자연유산 등재를 결정짓는 잣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내달말로 예정된 유네스코 전문가 자문기구인 IUCN(국제자연보호연맹)의 현지 실사를 앞두고 문화재청 등이 주관한 국내 전문가들의 예비실사팀은 지난 14∼15일 한라산과 거문 오름 용암 동굴계, 성산 일출봉 등의 관리.보전 상태와 IUCN 실사 코스 등을 점검했다.
이인규 세계자연유산 등재추진위원회 부위원장(한국 IUCN 위원장) 등 전문가와 문화재청 관계자들은 16일 제주도청에서 기자 간담회를 통해 “예비실사 결과 유산지구의 학술적 가치가 높고 유산지구에 대한 보존.관리 상태가 양호하다”고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들은 그러나 "성산일출봉 등 유산지구에 대한 환경정비와 일부 지구의 시설물 정비가 필요하다"며 보완을 요구했다.
또 유산지구에 대한 활용 방안으로 방문객 센터 건립 등을 제시했다.
이들은“자연유산에 등재되기 위해서는 주민 호응과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면 전 세계 투어코스에 포함돼 외국인 관광객 유치 효과와 함께 유산지구 주민들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유산지구 주변 재산권 침해 등 규제 우려에 대해 문화재청 관계자는“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됐다고 해서 기존 지정문화재 관련법에서 규제하고 있는 것 이외의 별도 규제는 없다”며“유네스코가 요구하는 사항보다 우리의 규제가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주민들에 대한 제약이나 부담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앞서 제주도는 지난연말 한라산 천연보호구역과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성산일출봉 응회환 등 3개 자원을 세계자연유산에 등록해 주도록 하는 등록신청서를 문화재청을 경유해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