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공공성 훼손…평화학교 안돼"
"교육 공공성 훼손…평화학교 안돼"
  • 한경훈
  • 승인 2006.08.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제주평화학교 설립에 대한 반대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제주평화학교설립추진위원회는 내년 개교를 목표로 제주시 봉개동 4ㆍ3평화공원 인근 1만평에 ‘제주평화중ㆍ고등학교’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추진위는 중ㆍ고교과정을 통합, 6년간 일관된 프로그램으로 기본 교과과정에 ‘평화교육’ 내용이 스며들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특성화할 방침이다.
그러나 도내 교원단체들은 평화학교 설립에 대해 “교육의 공공성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며 설립반대 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다.
제주도교원단체총연합회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제주지부는 10일 성명을 내고 “지역사회의 일부 이름 있는 인사들이 특성화 대안학교를 표방하면서 실제로는 교육공공성을 훼손하는 우월적 엘리트 교육기관을 설립하려고 하고 있다”며 설립추진 중단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평화학교의 교육비는 제주지역 고교의 3배에 달하는 등록금과 체험학습 경비를 감안하면 연간 1000만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일반학생들의 접근과 선택권이 현저히 제한돼 소수 특수계층만을 위한 ‘귀족학교’로 흘러 교육의 양극화를 심화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평화교육은 모든 아이들이 공유해야 할 보편적 가치로 공교육의 틀에서 모든 아이들이 공유해야 할 보편적 가치로 공교육의 틀에서 이를 어떻게 녹여낼지 고민해야 한다”며 “설립위가 진정 제주교육을 걱정한다면 별도의 학교 설립을 통한 ‘우리만 따로’ 방식을 지양해야 한다”고 거듭 설립중단을 요구했다.
특히 “평화학교가 정규학교로 인가 받은 후 개교하려는 것은 사립학교에 지원하는 공적 교육예산의 지원을 받기 위한 것이다” “제주지역 공교육 강화를 위한 공적 예산이 소수 특수계층의 아이들을 위해 사용되는 것은 문제”라며 설립 인가권을 가진 도교육청을 압박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이에 대해 “지난 3월 30일 평화학교 설립인가 신청이 접수됐다”며 “현재 이를 놓고 심의 중으로 조만간 인가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