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은성’ 일대 최고 70m까지 건축행위 가능할 듯
제주시와 서귀포시 옛 도심권이 인구이탈로 해당지역 골목상권이 붕괴하는 등 공동화 현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이들 지역이 결국 고도완화를 통한 도시 재개발로 ‘재기’의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는 현재 추진중인 ‘제주광역도시계획 수립연구용역’에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구도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지역내 부분적 건물 고도완화와 이를 통한 재개발사업이 추진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키로 했다고 30일 밝혔다.
제주광역도시계획은 현재 국토연구원과 제주발전연구원이 공동으로 수립하고 있는데 이 계획은 이르면 오는 9월 완료될 예정이다.
제주도는 이들 용역팀에 제주의 대표적 구도심인 제주시 묵은성 일대의 경우 현재 35m인 건축물의 높이를 경관 및 주변 환경을 크게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갑절정도 높이는 문제를 검토하도록 했다.
제주도는 구도심 주차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건물 고도를 높여 정주여건 등을 개선함으로써 유동인구 흡수와 기존 주민들의 추가 이탈을 예방키로 한 것이다.
제주도는 이 같은 건축물 고도완화를 통한 재개발 사업으로 구도심 문제를 푸는 것이 현재 시점에서 검토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보고 광역도시계획에 이에 따른 토대를 마련토록 한 것이다.
제주도는 이와함께 기존 시.군 단위로 수립해 온 도시기본계획의 경우 시.군의 폐지로 더 이상 의미가 없다고 판단, 광역도시기본계획에 사실상의 도시기본계획 내용들까지 포함시킬 방침이다.
제주도는 광역도시계획에 구도심 개발의 기초를 마련한 뒤 이를 토대로 수립되는 도시재정비계획에서 구체적인 구도심 개발방향 등을 제시하는 문제를 적극 검토키로 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이와 관련, “제주시 묵은성 등 구도심 문제는 어떤 형태로든 이번 광역도시계획에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할 상황”이라며 “현재로서는 부분적 고도완화와 이를 토대로 하는 도시재개발사업이 가장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