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시의 각종 업무보고가 줄을 이으면서 대민 업무는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특히 제주도의회의 시 본청 방문 업무보고를 놓고 직원들이 큰 불만의 소리를 내고 있다.
제주시는 지난 11~13일 통합시정 전반에 대한 사항을 김영훈 시장에게 보고했다. 이어 19일에는 제주시청을 방문한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에 업무보고와 함께 현안사항을 설명했다.
20일에는 김태환 제주도지사가, 25일에는 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의가 각각 제주시청을 방문할 예정으로 있다.
시.군 통합과 태풍 ‘에위니아’ 등으로 처리해야 할 업무가 산적한 상황에서 연이은 업무보고 준비로 행정시 직원들이 곤혹을 치르고 있다. 민원사항 파악이 늦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행정시는 특히 도의회에 대한 업무보고에 대해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다. 업무보고 자체를 탓할 수 없으나 내용과 형식이 통상 궤도를 벗어났다는 지적이다.
도의회가 공식회기 중 행정시를 방문해 업무보고를 받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의 ‘법적 근거’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나 일선조직으로부터 의견을 수렴해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현실은 딴판이었다. 이날 도의회 방문에서는 업무보고가 무색하게 ‘지역구 챙기기’성 질의가 쏟아졌다. 현안사항을 듣고 도정에 반영하기 위한 절차라지만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지지 못했다.
또 시장이 직접 업무보고 하도록 한 점도 문제로 꼽히고 있다. 자료 낭독에 불과한 업무보고를 굳이 시장이 할 필요가 없었다는 것이다. 종전 시의회의 경우 업무보고는 해당 국장이 상임위별로 하는 것이 관례였다.
제주시는 이 같은 이유를 들어 도의회 방문에 앞서 국장이 업무보고 하도록 조율했으나 허사였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도의회의 업무보고 요구는 결국 행정시 ‘길들이기’ 차원”이라는 시각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