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가 해군기지 유치여부를 논의할 태스크포스팀(TFT)을 구성, 그 결과에 따라 도민사회에 또 다른 논란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해군기지 유치 논의 태스크포스팀은 해군기지 최적합지로 알려진 화순과 최근 위미 지역주민들이 찬반투표를 통해 해군기지 유치 반대입장을 밝힌 가운데 이뤄진 것으로 태스크포스팀의 논의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 6~7일 서귀포칼호텔에서 열린 제6회 '피스 아일랜드(평화의 섬) 포럼-섬의 안보와 평화'에 참석한 세계 각국의 평화정책 석학들은 포럼폐막에 앞서 제주도민과 제주특별자치도가 추진해야 할 '평화의 섬 정책권고안'을 채택, 사실상 제주해군기지 반대 입장을 표명한 상태다.
이번 태스크포스팀 구성은 김태환 지사가 당선자 시설 방위사업청과 해군본부와 합의한 후속 조치다.
태스크포스팀은 각 분야별 민간전문가와 제주발전연구원, 제주자치도 공무원 등 20명 이내로 구성된다. 자치도는 일단 제주발전연구원과 민간 태스크포스를 먼저 구성했다.
고부언 제주발전연구원장이 태스크포스를 총괄하게 되며, 간사에는 양덕수(제주대 행정학과) 교수가 임명됐다. 평화분야는 고성윤(평화연구소) 박사, 경제·관광분야는 문성종(한라대) 교수, 도민의견수렴 양덕순 교수, 사회문화 김진영(제주대) 교수, 그리고 지역개발과 환경분야에 김태윤 제주발전연구원 연구실장과 김석종 교수가 맡게 된다. 자치도는 금주중에 각 실·국별 협의를 거쳐 태스크포스에 참여할 공무원을 확정할 예정이다.
해군기지 유치 태스크포스팀은 가장 먼저 김태환지사가 후보자시절에 밝힌 △평화의 섬 이미지 부합 △경제적 파급효과 △도민 합의 등 3원칙에 중점을 둬 유치 여부를 논의하게 된다.
김 지사는 18일 오전 기자간담회에서 “분명히 후보자 시절에 이 문제에 대한 입장 정리를 분명히 했다”면서 “어느 것이 가장 주류를 이루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주변에선 현재 해군기지 유치 찬반논란 등 양면성이 상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김 지사가 밝힌 3가지 원칙 모두를 만족시키기란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다.
김 지사는 이와 관련 “앞으로 태스크포스에서 이에 따른 충분한 논의르 해 나갈 것”이라면서 “태스크포스를 어떻게 운영하고 또 방법은 어떤 것이 있으며 이에 따른 로드맵을 결정지어 다음주에 이를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자치도는 이에 따라 태스크포스가 구성되면 전체회의를 거쳐 제주해군기지 유치여부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