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중소기업들의 희망의 푸른신호등의 기대치가 지속되는 경기침체속에서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 제주지회가 최근 “IMF보다 더 어려운 국면에 처해 있다”는 세간의 이야기가 많이 나오자 실제 중소기업인들은 현재의 경기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얼마나 경영이 어려운지 또 어떻게 대응해 나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 12일부터 13일까지 도내 중소기업 316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했다.
조사결과 52개 업체가 응답, 이 가운데 73.3%의 업체가 현 제주지역 경기상황에 대해 “위기국면이다‘라고 대답,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올 상반기 중 ‘부도위기’를 경험한 업체는 13.3%에 불과했고 ‘휴․폐업’을 구체적으로 검토했다는 업체도 8.9%에 그쳤다.
특히 중소기업중앙회 광주․전남지회가 지난 6월 22일-28일중에 관내 중소기업경영애로실태를 조사한 결과 “위기국면이다”라고 응답한 업체가 84.5%에 이른 것과 달리 제주지역 경제는 상대적으로 희망을 찾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침체속에서도 부도위기를 경험한 업체가 13.3%에 불과한 반면 그렇지 않은 업체는 86.7%로 아직까지 희망의 끈을 놓지 않은 업체가 대부분이었다.
이는 한국은행제주본부가 밝힌 7월중 중소기업경기전망BSI가 자금과 원자재 조달 부문 호전이라는 전망도 제주지역 경제가 하반기에는 상반기보다 좋아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빨간신호등에 이어 황색등에 들어선 제주경제가 이제 푸른신호등을 받을 수 있는 희망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이다.
푸른신호등이 켜지는 시기에 대해 도내 중소기업들은 2008년 상반기 이후(35.6%)를 가장 많이 꼽았다. 2007년 하반기부터라는 의견도 20.0%로 다소 높게 나왔다.
그러나 2006년 하반기부터 회복될 것이라는 의견은 2.2%에 그쳤다.
중소기업중앙회 제주지회는 도내 중소기업의 경영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제주도만의 판로 지원책 마련과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조례제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즉 제주자치도 및 공공기관에서 물품을 구입할 때 소액인 경우 도내 중소기업과 수의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또 중소유통인들을 보호할 수 있는 ‘제주중소유통업 활성화를 위한 조례’ 제정, 중소기업공동물류센터 건립 지원과 중소기업유통활성화기금 조성, 제주의 대표적인 음식료품과 공예산업 적극 유성, 제주지역 중소기업 지원행정조직 확대 등을 건의했다.
중소기업중앙회 제주지회 관계자는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하면서 종전 제주지방중소기업청이 지식산업국 기업지원과로 편제됐는데 중앙정부에 대한 창구를 맡아야 하고 현장지원과 관련기관의 조정 등의 과업을 수행하기에는 역부족”이라면서 “현재 중소기업지원과를 중소기업지원단으로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