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경제 양극화 문제보다 지속 하향화가 더 위험하다"
"제주경제 양극화 문제보다 지속 하향화가 더 위험하다"
  • 한경훈
  • 승인 2006.07.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경제는 양극화문제보다 지속적 하향화 현상이 더 큰 문제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은행 제주본부, 제주대학교, KBS제주방송총국이 공동 주최한 ‘2006년 제1차 지역경제세미나’에서 주제발표 한 문정인 교수(연세대 정치외교학과)는 “제주경제는 성장 동력과 잠재력의 한계에 따른 장기적 침체현상이 가장 시급한 극복 과제”라고 강조했다.
문 교수는 “지역내총생산(GRDP) 기준 산업점유율이 서비스업 66.4%, 농림.어업14.7%, 건설업 13.8%, 제조업이 2.9%로 나타나고 있다”며 “양극화 보다는 한 분야, 즉 서비스 분야에 집중되고 있는 '일극집중화‘이 여러 가지 연계 전략에도 불구하고 1차산업의 피폐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또 “고용원 600명 이상 중.대 기업수가 10개 업체를 넘지 못하는 상황에서 기업간 양극화 논의는 무의미하다”며 “체감경기에 민감한 중소기업, 영세 상공인 위주의 제주경제는 양극화보다는 전 기업의 하향화 경로를 밟을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특히 “산남은 낙후된 1차산업을 중심으로 분포돼 있으나 산북은 부가가치가 높은 3차산업체 특화돼 있다”고 분석한 뒤 “산.남북 격차가 더 벌어질 경우 지역적 양극화 심화보다는 산남 인구의 산북 유입이라는 일극화 현상이 야기될 가능성이 있다”며 균형발전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문 교수는 이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주경제의 성장 동력과 잠재력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시장 인구 확대가 필수적이고 제주인구가 최소한 200만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민자유치가 선행돼야 하며 7대 선도프로젝트를 포함해 제주개발계획에 대한 전반적인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