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ㆍ미FTA때 감귤 지키지 못할 경우 제주 위한다는 정부정책은 헛구호”
“한ㆍ미FTA때 감귤 지키지 못할 경우 제주 위한다는 정부정책은 헛구호”
  • 정흥남
  • 승인 2006.07.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의회 회견,감귤 혐상품목 제외 청와대 등에 건의키로
우여곡절 끝에 원구성을 완료한 제주특별자치도의회가 지역 최대 현안인 한미 FTA에 대해 한목소리로 감귤보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제주도의원 전원은 제주의 생명산업인 감귤을 한미 FTA협상품목에서 제외시켜야 한다는 건의문을 정부 부처와 청와대에 전달키로 했다.
도의회 양대성 의장, 강창식 부의장 등 도의원 일동은 7일 오후 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청와대 권오규 정책실장, 반기문 외교통상부장관, 박홍수 농림부장관 등에게 한미 FTA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건의문을 전달하기로 했다.
도의회는 건의문에서“제주 경제는 감귤과 관광이라는 두 가지 생명산업에 의해 지탱되고 있는데 최근 몇 년간 지속돼 온 감귤 등 1차산업과 관광산업의 부진으로 제주경제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해 있다”며“가뜩이나 어려운 지역경제가 이제는 감귤산업의 쇠퇴로 인해 더 이상 손써 볼 여력이 없어질 수 있다는 강한 위기감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도의회는“7월1일 특별자치도가 출범하기는 했지만 감귤산업을 대신한 관광.교육.의료.청정 1차산업과 첨단산업 등 4+1 핵심 산업이 제주의 생명산업으로 자리 잡기까지는 너무나 요원한 실정”이라며“한미 FTA협상시 오렌지 등 감귤류가 반드시 협상품목에서 제외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의회는 “최근 몇 년간 지속되어온 감귤가격 폭락 속에서도 굴복하지 않고 오히려 위기 상황을 기회로 전환시키기 위해 펼쳐왔던 폐원과 1/2간벌 등을 비롯해 농민들의 생산 구조조정 자구노력이 물거품으로 돌아간다 제주도를 위한 그 어떤 정부의 정책과 제안도 헛구호로 그칠 우려가 크다”고 밝혔다.
도의회는“특별자치도의 성공은 농업의 안정적인 바탕 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감귤산업이 회생되어야 가능한 일”이라며“만약 한미 FTA협상시 오렌지 등 감귤류가 협상품목에서 제외되지 못한다면 특별자치도도, 국제자유도시도, 평화의 섬도 성공하지 못하고 결국 정부의 정책에 불신만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도의회는 이어“우리는 그동안 개방화에 대비하여 감귤의 생존적 차원에서 많은 자구노력을 기울려 왔지만 수입과일과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아직도 많은 시간과 예산, 그리고 제도적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양대성 의장은 이날 기자회견 배경에 대해 “도의회 출범과 함께 의원들 모두 우선 지역경제를 살려야 한다는데 의견을 함께 했다”면서 “제주의 지역경제는 감귤산업이 최우선인 만큼 한미 FTA 협상을 담당하는 외교통상부와 농림부, 그리고 청와대에 우리 온 도민의 뜻을 다시한번 전하기로 했다”고 소개했다.
양 의장은“한미 FTA협상시 오렌지 등 감귤류가 협상품목에서 제외되지 못하면 특별자치도도, 국제자유도시도, 평화의 섬도 모두가 공염불이 될 것이란 점을 협상부처의에 건의, 중앙정부 차원에서 각별한 배려와 지원을 요청하겠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