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사업도 환경정비ㆍ교통계도 등‘단기ㆍ임시직’ 치중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고령층 주민들의 실업난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지방정부의 고령층 실업대책이‘임시 일자리 제공’에 치중되고 있다. 제주 지역경제 구조상 고령층 주민들이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자리가 별로 없는데다 노인복지법에 의거해 지방정부가 벌이고 있는 노인일자리 사업 역시 대부분‘임시직’에 집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청년 노동력까지 남아도는 상황에서 민간 기업들의 노령인구 채용 기피는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노인일자리 사업’의 입지를 더욱 위축시키고 있다.
제주도는 올해 도내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국비와 지방비 등 20억7700만원의 사업비를 투입, 노인 일자리 사업을 벌이고 있다.
제주도는 올해 이를 토대로 1767개 일자리에 연인원 7780명의 노인을 수용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올 상반기12억8400만원을 들여 1482개 일자리를 창출, 연인원 4675명을 소화했다.
이에 앞서 제주시는 지난해 525개 일자리에 3812명을 소화했다.
그런데 올해 계획된 일자리의 경우 유형별로 보면 우선 744개의 일자리가 제공되는 ‘공익형’사업은 자연환경 정비활동과 교통질서 계도, 방범순찰, 행정기관 보조업무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 240개의 일자리가 주어지는 ‘복지형 일자리 제공사업’의 경우 독거노인 및 중증노인 보호 사업, 노인주거개선사업단 활동지원, 노인교통안전봉사단 등에 집중되고 있다.
특히 이들에 대한 근무형태도 1일 3~4시간, 주 3~4일근무가 주종을 이루면서 보수도 1인당 월 20만원 내외에 그치고 있다.
이에 따라 궁극적으로 노인 일자리 사업이 노령층 실업인구를 구제하는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장기.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일자리를 확충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제주도는 올 하반기 안정적인 일자리 제공을 위해 노인 취업 박람회를 개최, 280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예정이다.
현재 제주지역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대략 5만3000여명.
최근 5년간 제주지역 전체 인구 가운데 노인 인구수의 비율은 2000년 7.7%, 2001년 8.1%, 2002년 8.5%에 이어 2003년 9.1%로 9%선을 넘어선 뒤 지난해 말 기준으로는 9.5%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제주 지역은 전국 평균보다 3년 빠른 2015년 고령사회(14% 이상)로 진입한 뒤 2025년에는 초고령사회(20% 이상)로 진입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고 있는 고령층 인구들을 위한 안정적 일자리 창출이 또 다른 사회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