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와 통합행정시인 제주시 및 서귀포시가 7월 1일자로 예고한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시.서귀포시 공무원 인사를 둘러싸고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단일 인사에 대해 공무원 노조간에도 현저한 입장차이를 보이면서 이번 인사로 제주도와 시.군 일반 공무원들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해 행정체제 개편 주민투표와 5.31지방선거로 패인 공직사회 갈등이 이번 인사를 계기로 노골화되고 있다.
제주도는 이번 인사를 실시하면서 공정하고 투명한 인사기준에 따른 것으로 통.폐합에 따른 불이익을 배제하고 인사 운영의 형평성 확보 차원에서 승진인원을 행정시에 할당했다고 강조했다.
동일 인사에 대해 공무원 노조가 정 반대입장을 보이고 있다.
△시.군 공무원노조
시.군 공무원들이 주축인 전공노제주본부는 30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이번 인사예고는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을 빌미로 도청 공무원들의 집단 이기적인 한 단면을 보여줬고 지방선거 결과에 따른 전형적인 논공행상 인사”라며“도민 화합과 상생의 공직 분위기를 조성해 지역균형 발전과 도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다는 인사 기조는 헛구호”라고 비판했다.
전공노는“그 동안 공직사회를 분열시키고 갈등을 초래했던 지방선거에 따른 논공행상 인사가 재현됐다”며“공무원 선거 개입 협의로 현재 피의자 신분으로 사법당국에서 조사를 받고 있는 도청 고위 공무원들을 승진 또는 영전시켜 인사상 특혜를 부여했다”고 강조했다.
전공노는 “결국 민선시대의 큰 병폐인 공무원들에 대한 줄세우기를 강요하는 부작용을 초래해 주민에 대한 행정서비스는 질적 저하로 나타날 수 밖에 없다”며“이에 대한 책임은 인사권자인 제주도지사가 질 수 밖에 없음을 거듭 경고한다”고 밝혔다.
전공노는 또“이번에 단행된 인사는 대상 공무원들과 부서장의 의견을 일부 배제함으로써 인력의 효율적 배치가 미흡했다”며 “특히 인사 발표가 늦어지면서 근무지 불분명과 업무의 불명확으로 도정이 일시 정지된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피력했다.
△도공무원노조
이에앞서 강군진 위원장을 비롯한 도청공무원노조는 29일 오전 제주도청 기자실에서 통합인사와 관련한 입장을 발표하면서“그동안 우리가 요구했던 행정구조개편 및 인사권 통합에 따른 시군 공무원들이 인사상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한 사항에 대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노조는 그러나 “인사대상 공무원들과 부서장의 의견을 일부 배제함으로써 인력의 효율적 배치가 미흡했다”며“특히 시군 통합과 실국재배치 등 부서이동은 순조롭게 이뤄졌으나 인사발표가 늦어짐에 따라 근무지 불분명과 업무의 불명확으로 도정이 일시 정지된데 대해 유감”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이어“인사권자가 인사청탁배제를 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일부 공무원들이 외부인사들로 하여금 인사청탁을 하고 있는데 대해 스스로 반성해야 하며, 향후 인사 때에도 이런 일이 발생할 경우에는 인사청탁 공무원과 청탁인에 대한 실명공개 등 인사상 불이익을 줄 것을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노조조는“불합리한 인사관행에 대해 과감한 시정을 요구하며, 조만간 있을 승진인사에도 인사의 적정성 여부를 철저히 검증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