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개발 금융허브건설…제주-서울 이원체계 구축
동북아개발 금융허브건설…제주-서울 이원체계 구축
  • 김용덕 기자
  • 승인 2006.06.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은제주본부, "국제자유도시 발전위해 필수적"
제주도가 명실상부한 국제자유도시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자본의 국제적 이동과 기업활동의 편의를 최대한 보장할 수 있도록 지역내 국제금융산업 육성을 위한 기본전략으로 ‘동북아개발 금융허브’의 건설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은행제주본부는 28일 ‘제주지역의 국제금융산업 육성방안에 대한 검토’ 보도자료를 통해 이 같이 밝히고 국제금융산업은 최첨단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지역경제와 사회 전반에 커다란 파급효과를 가져와 제주도가 획기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했다.
한은제주본부는 제주가 가지고 있는 지정학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고 제주와 서울의 이원적 금융허브 발전 전략을 수립, 이를 추진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동북아개발 금융허브’의 건설을 제주 국제금융산업 육성의 기본전략으로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
한은제주본부 관계자는 “동북아개발 금융허브의 핵심내용은 그동안 한중일 3국을 중심으로 설립논의가 이뤄져온 동북아개발은행(NEADB-Northeast Asia Development Bank)을 제주에 유치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북아 개발금융시장을 육성하는 것”이라며 “이는 제주가 표방하는 평화의 섬 이미지와도 일맥상통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동북아개발 금융허브는 기존 국내 금융시장과는 분리된 별도의 새로운 국제금융시장으로서 역외금융센터에서 흔히 나타나는 규제회피, 자본유출, 탈세 등 국내금융시장의 교란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 제주와 서울의 이원적 금융허브 발전 전략의 추진은 시너지효과를 창출, 우리나라의 아시아 3대 금융허브로의 발전을 촉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주가 적극 육성하고자 하는 4+1(관광, 교육, 의료, 청정 1차산업과 첨단산업)산업 발전의 발판이 될 것으로 한은제주본부는 기대하고 있다.
한은제주본부 관계자는 “국제금융산업의 뒷받침이 없는 국제자유도시는 반쪽자리에 불과하다”고 전제 “동북아개발 금융허브 건설을 위해 1차적으로는 홍보 강화 등 기반을 조성하고 2단계로 한중일 3국 공동의 동북아개발 연구소 제주 설립을 통한 관련 정보를 제주에 축적해 이를 바탕으로 동북아 개발 관련 민간 개발금융기관의 제주유치를 본격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