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군기지 후보지가 오는 9월중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방위사업청이 27일 이같은 제주 해군기지 추진일정을 공개적으로 표명함에 따라 앞으로 해군기지 건설을 둘러싼 찬반논쟁이 표면화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김태환 제주특별자치도 당선자의 도지사 취임과 동시에 이 문제가 도정현안의 최 전면에 부상하면서 김 당선자의 도민통합 역량이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방위사업청은 이날 국회 국방위 업무보고 자료에서 “제주도에 해군 기동전투 전단 수용을 위한 부두와 지휘.지원시설을 건설할 후보지로 낙점한 화순과 위미지역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다음 달 착수한다”며“9월에는 기지건설 위치를 최종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기지건설 지역이 선정되면 9월부터 내년 9월까지 환경.교통 영향평가와 지질.해양조사를 거쳐 내년 7월 이후 부지매입 및 항만.육상공사에 들어갈 계획이다.
제주 해군전략기지는 2014년까지 7430억원이 투입돼 조성된다.
이와 관련, 김태환 제주도지사 당선자는 최근 황규식 국방차관과 만나 제주 해군기지 건설 논의를 재개하자는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연합뉴스는 방위사업청 관계자의 말을 인용, 보도했다.
방위사업청은 이와관련, 이날 “지난 5월 후보지 가운데 한 곳인 위미지역의 해군기지 유치위원회에서 유치를 희망하는 공개질의서를 국방부에 보냈다”며“해군기지 유치에 대한 제주도민의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 된다”고 설명했다.
이에앞서 김태환 도지사 당선자는 지난 23일 해군 본부측 관계자들의 예방을 받고“해군기지는 우선 제주 평화의 섬 이미지에 부합해야 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분명히 기여해야 하며 우선적으로 도민합의가 이루어져야한다”고 기존의 입장을 밝혔다.
당시 해군본부 전력기획참모부장 정옥근 소장 등 해군본부측 관계자들은“해군기지는 단순히 해군차원의 사업이 아니라 국가적 사업이며 이 소관은 국방부와 방위사업청”이라며 “제주 해군기지가 제주 평화의 섬 이미지를 공고히 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소장은“해군기지 건설은 총 건설규모 8000여억원에, 완공 이후 군인 가족 등 7500명이 이주하는 대규모 사업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체육시설, 병원시설 등 지역주민과 함께 하는 시설을 제공할 예정이며 국제교류회의 및 부대회의 방문 인원만 연간 2만여 명 정도로 이로 인한 경제 파급효과가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