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정상부 복구 ‘해묵은 논쟁’ 재연
한라산 정상부 복구 ‘해묵은 논쟁’ 재연
  • 정흥남 기자
  • 승인 2006.06.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라산 백록담 정상부 북벽 및 서북벽을 중심으로 붕괴 및 낙석현상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한라산 정상부 대형 암반이 백록담 경사면 아래로 굴러 내리는 붕괴사고까지 발생, 해묵은 한라산 정상부 복구논쟁이 재연되고 있다.
이에 앞서 제주도는 지난연말 2억7300만원이라는 거액의 국비를 투입, ‘백록담 담수보전 및 암벽붕괴 방지방안 용역’을 최근 마쳐 붕괴방지 및 복원대책 까지 용역단으로부터 제시 받아 문화재청에 복원사업 여부를 건의했으나 문화재청은 한마디로 이를 일축했다.
문화재청의 입장은 한라산 정상부 훼손의 경우 자연현상에 따른 것으로, 이를 인위적으로 복구할 경우 그 자체가 또다른 자연훼손이라는 입장이다.
문화재청은 이에 따라 인위적으로 훼손이 이뤄진 등산로와 달리 자연적으로 풍화작용 등에 의해 붕괴되고 있는 백록담 정상부 북벽 일대에 대한 붕괴 및 낙석 등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복구 및 복원사업을 제한하고 있다.
반면 제주도는 내부적으로 한라산 정상부의 원형을 훼손하지 않은 범위내에서 최소한의 복구대책은 마련돼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민족의 영산인 한라산 정상이 옛 모습을 완전히 잃을 수도 있는데 이를 눈뜨고 보고만 있을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제 모습 잃는 한라정상
지난연말 한라산 백록담 부분의 훼손실태를 조사했던 용역팀은 당시 백록담 서북벽 암반인 조면암(화산분출 때 현무암에 앞서 발생된 암석)은 매우 심하게 풍화됐을 뿐만 아니라 백록담 정상부의 북측과 서벽 남벽은 다양한 형태로 암반 붕괴가 진행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 백록담의 조면암은 풍화작용에 의해 강도가 떨어져 암석으로서의 가치가 소멸되고 토사화가 시작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분석했다.
이번에 무너진 한라산 백록담 동릉과 남벽사이 산사태 역시 집중호우 등이 누적돼 발생한 것으로 제주도는 분석하고 있다.
당시 용역팀은 백록담 고도가 1800m이상인 점을 고려할 때 친환경적으로 암반 붕괴와 낙석을 억제시키고 백록담의 미관도 해치지 않은 네트 공법이 최적의 대안이 될 것이라고 제시했다.
△해묵은 복원논쟁 되풀이
문화재청은 지난 4월 제주도가 신청한 한라산 남벽 등산로 주변 훼손지 복구계획에 대해 중앙문화재위원회의 심의결과에 따라 불허하고 이같은 방침을 제주도에 내려 보냈다.
문화재청 중앙문화재위원회는 이에 앞서 올 초에도 역시 한라산 백록담 등 정상부 훼손지 복구문제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문화재청은 한라산 남벽등산로 훼손지 복구와 관련, ‘훼손지 복구 신청지의 경사가 완만해 토양 침식의 가능성이 적고 훼손지 면적이 소규모 이므로 환경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라산 훼손지 복구공사가 시작된 지난 94년 이후 복구계획에 대한 불허결정이 내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재청은 최근에는 서귀포 지역 경제단체 등이 건의한 돈네코 등산로 개방도 불허하는 등 한라산국립공원 지역에서의 ‘인위적 조캄들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어 이번 백록담 경사로 붕괴사태 역시 인위적 수단에 의한 복구 작업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