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남 ‘등돌린 민심’ 재확인
산남 ‘등돌린 민심’ 재확인
  • 정흥남 기자
  • 승인 2006.06.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ㆍ31선거 김태환 당선자에게 남긴 것
“어쩌면 지난해 치러진 행정구조 개편에 따른 주민투표와 그 결과가 이처럼 흡사할 수 있나”
지난해 7.27주민투표이후 10개월 만에 치러진 이번 5.31제주도지사 선거는 김태환 당선자에게 많은 미래비전을 심어줬지만 이면에서는 많은 숙제를 남겼다.
이 가운데 가장 큰 문제는 지난해 주민투표에서 나타난 산남 민심이 비록 일부 정도의 차이가 있었을 뿐 재연됐다는 사실이다.
지난해 행정계층구조 주민투표 때 서귀포 시민들은 당시 김 지사의 ‘분신’처럼 여겨진 혁신안에 43.6%의 지지를 보인반면 이 반대편에 있는 점진안에는 과반수가 넘는 56.4%의 지지를 보였다.
남제주 주민들 역시 점진안에 54.9%의 지지를 보인반면 혁신안에 대해서는 45.1%의 지지를 보였을 뿐이다.
이에 비해 제주시민들은 혁신안에 64.5%, 북군주민들은 혁신안에 57.2%의 지지를 보내 대조를 이뤘다.
10개월 뒤 김 당선자는 서귀포시 지역에서 전체 유효투표의 42.%를 얻어 46.2%를 얻은 현명관 후보에 뒤졌으며, 남군에서도 39.9%의 지지를 얻는데 그쳐 현 후보 46.6%에 못 미쳤다.
김 당선자는 지난해 주민투표 이후 지나치리 만큼 치밀하게 ‘산남 공들이기’ 작업을 벌여왔다.
혁신도시 서귀포지역 유치와 각종 회의산업 산남유치는 물론 컨벤션 센터 이사장 등 공직임용에서도 산남출신 인사들을 우대했다.
이처럼 공을 들였는데도 산남지역 주민들은 결과적으로 이번 지사 선거에서도 김 당선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 후보에게 많은 지지를 보냈다.
물론 이 지역 유권자들이 김 당선자에 비해 현 후보 지지가 많았던 이유는 직전 서귀포시장과 남군수가 현 후보캠프에 합류, 이들의 역할이 절대적이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지만 결국 이는 김 당선자가 풀어야 할 과제로 남고 있다.
김 당선자는 이번 선거기간 중 이 같은 민심을 의식, 산남지역에 대한 공약들을 대거 발표했다.
이에따라 정치권은 김 당선자가 어떤 형태로 이처럼 틀어진 산남민심을 달랠 것인지에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산남에 대한 김 당선자의 일거수 일투족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