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인적자원부가 통폐합 실적에 따른 행ㆍ재정 차등지원 방침을 밝히는 등 그 추진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으나 대상학교 지역주민의 반발을 무마할 뾰족한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19일 제주도교육청에 따르면 교육부 등 정부관련 부처가 학생 수 100명 이하 소규모 학교의 통폐합을 재추진 할 방침이다.
교육부는 지난 5월 각 시ㆍ도교육청에 보내 공문을 통해 “통폐합 계획을 재수립하고 모범사례 및 실패사례도 적극 발굴해 제출 할 것”을 지시했다.
이는 앞서 2월에 제출한 통폐합 추진계획이 지지부진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보고서에서 제주의 경우 도 단위 지역 중 유일하게 통폐합 대상학교가 없었다.
도내 학생 수 100명 이하 21개 초등학교의 학부모, 지역주민 등 60% 이상의 찬성을 전제로 통폐합을 추진한 가운데 대상학교를 한 곳도 선정하지 못한 것이다.
이들 소규모 학교 주민이나 동창회 등은 학생 수 감소에 따른 통폐합의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공동화가 심화된다는 이유로 강력히 반대해 통폐합이 전혀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저출산, 농어촌인구의 노령화와 젊은층의 부족 현상 등으로 소규모 학교가 점차 늘어날 수밖에 없는 점을 감안하면 관련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소규모 학교의 경우 특정 전공교사가 여러 과목을 가르치는 등 교육여건이 열악한데다 교원수급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도내 학교는 각 마을의 문화ㆍ교육의 중심이고 구심적 역할을 하는 특수성이 있다보니 통폐합에 반대 목소리가 높다”며 “그러나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과 교육인력ㆍ재정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통폐합이 바람직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