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까지 기동전투전단 수용규모 제주에 건설
2014년까지 제주에 해상 기동전투전단의 수용이 가능한 해군 전략기지가 건설된다.이와함께 현재까지 해군기지 건설지로 유력하게 검토돼 온 남제주군 화순항 대신 지역주민 등의 유치전이 전개되고 있는 남원읍 위미지역도 검토대상으로 올라 귀추가 주목된다.
18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방위사업청(방사청)은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2015년께를 목표로 하는 우리군의 주요 전력투자사업 계획을 공개했다.
공개된 사업계획에 따르면 올해부터 2014년까지 제주도에 해상 기동 전투전단 수용이 가능한 부두와 지휘 및 지원시설이 건설된다.
방사청은“지난해 국회에서 제주도민의 동의를 얻은 후 금년에 예비비로 이 사업을 추진키로 결정한 만큼, 앞으로 대외 홍보활동과 주민 여론조사 등을 거쳐 올해이 사업과 관련한 예비비를 편성해 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군 관계자도“애초 기지 예정지로 검토됐던 제주 화순항에서 얼마 떨어지지않은 위미 지역에서 해군기지 유치위원회를 결성, 해군측에 요청한 상태여서 신중히검토하고 있다”며“최근 제주도민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에서도 찬성 의견이 높다”고말했다.
이에따라 제주 해군기지 건설예정지가 애초 화순항에서 위미지역으로 바뀔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앞서 남원읍 위미 1·2·3리 주민들로 구성된 유치추진위원회(공동위원장 김봉규 김영근)는 지난 17일 남제주군청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대승적 차원에서 위미지역의 혁신적인 발전과 번영을 위해 해군기지를 유치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유치위는 “지역선정은 지역민의 호응도에 비중을 두고 있다는 답변을 들은 만큼 위미지역은 각 마을 개발협의회 전체회의를 통해 만장일치로 유치운동을 전개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유치위는 이어 “최근 언론들이 마치 특정지역이 선정된 듯한 인상을 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자제해주기를 바라며 기지와 관련된 이해당사자는 지역주민인 만큼 외부단체나 세력의 간섭과 개입은 단호히 차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