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ㆍ인성교육 場으로
공동체ㆍ인성교육 場으로
  • 한경훈 기자
  • 승인 2006.05.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일상 받는날ㆍ'수다날' 등 다채로운 '식사행사'
학교급식이 단순히 한 끼 식사 해결이 아니라 질서의식, 공동체의식 등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과 덕성을 함양하는 인성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도내 각급학교 대부분이 급식시간을 생활교육의 장으로 가져가고 있는 가운데 특히 성산교와 시흥교가 모범사례로 꼽히고 있다.
시외 소규모 학교인 이들 학교는 ‘생일상 받는 날’ ‘수다날(수요일은 다 먹는 날)’ ‘포크ㆍ나이프 사용 급식의 날’ 등 다양한 급식행사를 마련, 학생들의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생일상 받는 날’은 결손가정ㆍ핵가족가정이 늘면서 생일을 제대로 챙겨 받지 못하는 아동을 배려하기 위한 것. 2개월에 1회씩 급식 시 전 학생에게 미니케이크를 제공하고 학급별로 생일잔치를 진행, 급우 간 공동체 의식을 키워주고 있다.
또 매월 넷째주 수요일은 ‘수다날’로 지정, 잔반통을 치우게 해 배식 받은 다 먹을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심각성을 인식시킴은 물론 음식을 마련해 주는 부모에게 감사하는 마음, 어려운 이웃을 생각하는 마음을 심어주기 위해서다.
이와 함께 월 1회 이상 포크와 나이프를 이용할 수 있는 식단으로 구성하는 ‘포크ㆍ나이프 사용 급식의 날’을 운영하고 있다. 시내에서 떨어져 있어 쉽게 서양식 식사예절을 쉽게 접하지 못하는 지역여건을 고려한 것이다.
이 두 학교의 급식소를 공동관리하고 있는 김양희 영양사는 “소규모 농어촌 학교에서 넉넉지 않은 급식비로 이 같은 행사를 추진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며 “그러나 학생들의 생활 속으로 다가가는 다양한 급식행사를 운영하면서 급식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교육적 효과도 좋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