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선거 전망은 안개 속이다. 특히 가장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도지사 후보 판세 분석이 그렇다.
도지사 선거와 관련한 열린우리당 공천 파문은 판세를 일거에 시계(視界) 제로 상태로 몰아넣었다.
이 같은 혼미스런 판세는 현역 시장ㆍ군수들의 소속당 탈당과 특정후보와의 연대 등 변수가 돌출하면서 더욱 가늠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어느 선거에서건 상식적인 궤도를 벗어난 짝짓기와 이합집산은 있기 마련이다.
그리고 자신은 무원칙하게 이리저리 야합하면서 상대방의 그것은 비난하는 작태도 일반적 선거전 양상이 된지 오래다.
이른바 ‘자기가 하면 로맨스고 상대방의 그것은 불륜’이라는 이중성은 우리가 경험해 왔고 지금도 보고 느끼는 선거운동의 속성이다.
그러나 이런 잘못된 선거운동의 속성이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면 이는 제대로 된 선거라 할 수 없다. 우리가 ‘5.31 지방선거’를 앞둬 수차례나 네거티브 선거운동 방식을 배격해야 한다고 강조해 왔던 것도 제대로된 정책대결 선거를 희망해서다.
제주도를 위해 봉사하겠다고 출마한 사람들은 모두 나름대로의 장점은 갖고 있다. 그러나 그에 못지 않게 약점도 많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대방 약점 캐기 선거보다는 더더욱 정책대결로 나가야 한다.
지금처럼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혼미한 판세에서는 정책이상의 판단기준은 없을 것이다.
특히 제주특별자치도 초대 지사는 올바른 정책과 비전, 예산확보 방안의 구체성, 실현 가능성 여부 등 정책공약의 신뢰성에 점수를 매겨 선택해야 할 것이다. 드러난 면면으로서는 누구나 장점과 약점이 있다고 보아지기 때문이다.
앞으로 20일 남은 선거운동기간, 모든 후보자들은 상대방 약점 캐기나 흠집내기에서 벗어나 정책대결로 승부를 가리기 바란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