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통일 점진적 희망
남북통일 점진적 희망
  • 김용덕 기자
  • 승인 2004.06.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도민들은 북한을 협력대상으로 보고 있는데다 남북통일도 점진적으로 통일하는 것이 좋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제주평화통일포럼(위원장 송상순)이 지난 5월 4일 도내 거주 만20세 이상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통일의식 관련 제주도민 여론조사’결과 북한을 협력대상(41.1%)으로 보고 있다. 이어 경계대상(22.8%), 지원대상(8.5%), 적대대상(8.3%) 순으로 응답했다.

남북통일에 대해서도 점진적으로 통일하는 것이 좋다(42.2%)고 응답한데 이어 남북한 공존(34.7%), 빨리 통일(22.5%) 순으로 나타났다.

통일후 국가체제에 대해서는 양자가 절충한 제3의 체제(51.2%)를 지금의 남한식 국가체제(44.8%)보다 선호했다.

북한 김정일 위원장의 신뢰여부에 대해 75.0%는 불신하고 있는 반면 20.7%는 신뢰한다고 응답, 의외의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대북포용정책 지지여부와 관련 72.7%가 지지하고 있는 반면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5.3%에 불과했다.

대북포용정책이후 북한의 변화를 묻는 질문에 대해 도민의 59.6%가 북한이 변할 것으로 내다봤으나 변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39.8%를 차지했다.

북한의 무력도발 감행 가능성 여부에 대해서는 의견이 양분,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주한미군철수문제와 관련해서는 철수해야 한다는 의견(35.7%)이 약간 앞선가운데 통일까지만 주둔해야 한다(34.9%), 통일이후에도 주둔해야 한다(23.9%), 당장 전면 철수해야 한다(3.6%) 순으로 나타났다.

제주에서 개최된 남북평화축전의 남북화해협력 기여여부를 묻는 질문에 제주도민의 544.1%가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정부의 이라크 추가파병결정에 대해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48.9%)는 응답이 바람직하다(47.4%)는 의견보다 약간 앞선 것으로 조사, 사실상 양분된 시각을 보였다.

정부의 탈북동포 대처방안에 대해서는 한국행을 원하는 모든 탈북자들은 받아 들여야 한다(41.9%)면서도 중국이나 제3국에 살 수 있도록 외교적, 경제적으로 지원해야 한다(26%)는 응답도 나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