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주년 범도민 위령제 앞둬 화해와 상생의 정신 재확인
58주년 범도민 위령제 앞둬 화해와 상생의 정신 재확인
  • 정흥남 기자
  • 승인 2006.03.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1차 3ㆍ4전체회의가 뭘 남겼나
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 위원회(이하 4.3전체위원회)가 29일 희생자 2865명과 유족 5517명을 추가 결정함에 따라 전체 4.3희생자는 1만2725명, 유족은 2만7674명으로 늘었다.
4.3희생자들에 대한 첫 심의는 2002년 11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제5차 4.3전체회의에서 제주도 4.3실무위원회 및 4.3소위원회 심의를 통과해 상정된 1801명 가운데 86명이 보류돼 사망 및 행불자 1715명이 4.3희생자로 처음 인정됐다.
이어 2003년 6차 전체회의에서는 1603명이 추가로 인정됐으며 그해 10월에 열린 8차회의에서는 휴유장애인 113명이 처음으로 인정된 것을 비롯해 모두 2286명이 희생자로 추가됐다.
2004년 9차 회의에서는 1246명이 희생자로 결정됐으며 이어 지난해 3월 10차회의에서는 수형자 607명이 처음으로 희생자로 인정된 것을 비롯해 3465명이 대거 희생자로 결정됐다.
제주4.3사건 58주년을 앞둬 열린 이번 11차 회의에서는 군인 6명과 경찰 13명 등 19명에 대한 희생자 결정이 다음회의로 유보된 가운데 2865명이 희생자가 추가로 결정됐다.
한편 이날 회의에도 지난해처럼 수형자를 희생자로 결정하는 문제를 놓고 민간인 위원과 군경측 위원의 대립하기도 했으나 결국 이들 모두를 희생자로 인정했다.
결국 이날 4.3전체위원회의 수형자들에 대한 희생자 결정은 위원들간 이견데도 불구하고 제 58주년 4.3범도민 위령제를 앞두고 화해와 상생의 ‘4.3정신’을 재확인 했다는 펴아를 받고 있다.
김태환 지사는 이날 회의에서 “제 58주년 제주4.3위령제를 앞두고 제주도민들의 큰 기대속에 열리는 회의인 만큼 희생자로 상정된 모든 도민들이 희생자로 결정되기를 기대한다”고 위원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이날 4.3 중앙위원회는 한덕수 국무총리 권한대행이 주재했으며, 정부위원으로는 유시민 보건복지부장관, 김선욱 법제처장, 김태환 제주도지사 등 8명, 민간위원으로 강만길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 위원장, 김정기 제주교대 총장, 박재승 전 대한변협회장, 박창욱 전 4.3사건유족회장, 배찬복 명지대 교수, 서중석 성균관대 교수, 신용하 한양대 석좌교수, 류재갑 경기대 교수, 임문철 중앙성당 주임신부, 한용원 한국교원대 명예교수 등 10명이 참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