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 신시가지 상당기간 공동화 불보듯
제주도가 행정구조 개편에 따른 행정조직 설계 최종 용역보고서를 공개한 이후 ‘도본청 공룡조직화’에 대한 비판여론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 행정조직 개편으로 서귀포시.남제주군 등 이른바 ‘산남 홀대론’이 불거지고 있다.
서귀포시와 남제주군이 제 2행정시로 불려지는 ‘서귀포시’로 통합되면서 상당수 기존 인력들이 제주시에 위치한 제주도 본청 등으로 흡수돼 산북으로 인력 대이동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제 2행정시(서귀포시) 청사가 현 남제주군 및 남군의회 청사를 사용하면서 현행 서귀포시 본청근무 인력이 대거 서귀포신시가지를 뜨면서 최근 불기 시작한 서귀포 신시가지 경제 활성화에도 찬물을 끼얹을 것으로 보인다.
△산남인력 산북이동
현재 서귀포시와 남제주군의 정규 공무원 인력은 본청 1324명과 읍면동 266명 등 모두 1590명.
그런데 이들 정규 공무원 가운데 행정시로 통합되면서 본청 인력의 경우 885명(자치경찰 43명 포함)으로 줄어들어 결국 현재의 본청 인력 가운데 439명이 줄어들게 된다.
읍면동 기능강화로 읍면동 인력이 현재 266명에서 374명으로 108명이 늘어나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결과적으로 331명의 인력이 제주도 본청 또는 도 사업소 등으로 흡수돼야 할 상황이다.
이와함께 비정규직의 경우 서귀포시와 남군의회 인력 11명이 도의회 인력으로 흡수되는 것을 비롯해 본청인력 가운데 ‘감축인력’으로 분류된 95명 가운데 제 2행정시 상수도 관련 인력으로 흡수되는 인력을 제외한 70여명이 제주도청으로 흡수될 전망이다.
△신시가지 공동화
현재 당장 우려되는 부분은 서귀포시 본청 인력이 남군청으로 옮겨지면서 초래되는 신시가자 공동화 현상이다.
서귀포시청 근무인력은 본청 445명과 의회 13명 등 모두 458명이다.
이들 인력이 한꺼번에 남군청 건물로 옮겨지면서 서귀포 신가지지에 겨우 일고 있는 지역경기 활성화에 찬물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제주도는 서귀포시청 건물을 ‘도본청 산남지역 보조청사’ 등으로 활용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으나 이곳에 입주할 도본청 기구가 기껏해야 수십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도사업소 관리본부’가 유력한 것으로 전망돼 인력이동에 따른 신시가지 상권침체 등이 우려된다.
제주도는 이 같은 점을 의식, 앞으로 신시가자 동쪽에 ‘혁신도시’가 들어서면 이같은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혁신도시의 경우 앞으로 내년 7월에 착수, 2012년에야 완공될 예정이다.
따라서 혁신도시가 정상적으로 가동될 때까지 상당기간 서귀포신시가지 경기침체가 예상되면서 한동안 잠잠해 진 ‘산남홀대론’에 불을 지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