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개 실ㆍ과 폐지…자연감소 인력 충원도 금지
7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 출범과 동시에 현행 4개 시.군이 2개의 행정시로 재편되면서 시.군 본청 인력이 대거 감축된다.이 과정에서 발생된 이른바 ‘유휴인력’은 읍.면.동으로 배치된다.
이에따라 읍.면.동 직원수는 현재보다 50%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도는 23일 이같은 내용의 ‘행정구조개편에 따른 행정조직 설계연구 중간보고서’에 대한 중간보고회를 제주도의회에서 개최했다.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와 제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가 공동으로 만든 이 중간보고서 용역에 따르면 우선 제주시와 북제주군이 행정시로 통합되며 이 경우 ‘제1 행정시(제주시)’ 조직은 4국 1대(자치경찰) 37과체제로 된다.
이에 따라 현 제주시와 북군 조직 가운데 12개 실.과가 줄어들게 된다.
‘제주시’주 사무실은 현 제주시청 건물을 이용하게 되면 북군청 건물에는 도본청 산북지역 보조기관들이 들어선다.
또 서귀포시와 남제주군이 합쳐지는 ‘제2행정시(서귀포시)’는 4국 1대(자치경찰) 20실과 체제로 재편되는데 이 과정에서 10개 실.과가 폐지된다.
‘서귀포시’ 주사무소는 현 남군청 건물을 사용하게 되며 현 서귀포시청 건물에는 도 본청 산남지역 보조기관이 들어서게 된다.
또 남군농업기술센터 및 남군여성회관에는 도농업기술원이 들어서게 되며 남군 농기센터는 서귀포농기센터화 합쳐진다.
이번 조직개편에서 제주도 조직은 현재 정부부시자가 폐지돼 환경부지사 직제가 도입되며 현 10개 실.국.본부 체제가 13개 실.국.본부 체제로 늘어난다.
제주도는 이처럼 시.군 본청직제가 재편되면서 발생한 유휴인력은 읍.면.동에 배치, 읍.면.동 직원수가 현재보다 50%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용역보고서는 여유인력 활용방안과 관련 앞으로 인력규모가 적정화되기까지는 원칙적으로 자연감소로 인한 결원충원을 금지하는 한편 △지방의원 정책자문위원 배치 △제주발전연구원에 연구요원으로 배치 △읍면동의 기동봉사담당 및 주민자치담당 요원 배치 등의 방법을 통해 해소할 것을 주문했다.
한편 제주도는 이번 중간용역결과를 토대로 의견을 추가 수렴, 내달 2일까지 최종 용역결과를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