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시ㆍ군 본청 ‘대수술’
4개 시ㆍ군 본청 ‘대수술’
  • 정흥남 기자
  • 승인 2006.02.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2개 실ㆍ과 폐지…자연감소 인력 충원도 금지
7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 출범과 동시에 현행 4개 시.군이 2개의 행정시로 재편되면서 시.군 본청 인력이 대거 감축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된 이른바 ‘유휴인력’은 읍.면.동으로 배치된다.
이에따라 읍.면.동 직원수는 현재보다 50%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도는 23일 이같은 내용의 ‘행정구조개편에 따른 행정조직 설계연구 중간보고서’에 대한 중간보고회를 제주도의회에서 개최했다.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와 제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가 공동으로 만든 이 중간보고서 용역에 따르면 우선 제주시와 북제주군이 행정시로 통합되며 이 경우 ‘제1 행정시(제주시)’ 조직은 4국 1대(자치경찰) 37과체제로 된다.
이에 따라 현 제주시와 북군 조직 가운데 12개 실.과가 줄어들게 된다.
‘제주시’주 사무실은 현 제주시청 건물을 이용하게 되면 북군청 건물에는 도본청 산북지역 보조기관들이 들어선다.
또 서귀포시와 남제주군이 합쳐지는 ‘제2행정시(서귀포시)’는 4국 1대(자치경찰) 20실과 체제로 재편되는데 이 과정에서 10개 실.과가 폐지된다.
‘서귀포시’ 주사무소는 현 남군청 건물을 사용하게 되며 현 서귀포시청 건물에는 도 본청 산남지역 보조기관이 들어서게 된다.
또 남군농업기술센터 및 남군여성회관에는 도농업기술원이 들어서게 되며 남군 농기센터는 서귀포농기센터화 합쳐진다.
이번 조직개편에서 제주도 조직은 현재 정부부시자가 폐지돼 환경부지사 직제가 도입되며 현 10개 실.국.본부 체제가 13개 실.국.본부 체제로 늘어난다.
제주도는 이처럼 시.군 본청직제가 재편되면서 발생한 유휴인력은 읍.면.동에 배치, 읍.면.동 직원수가 현재보다 50%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용역보고서는 여유인력 활용방안과 관련 앞으로 인력규모가 적정화되기까지는 원칙적으로 자연감소로 인한 결원충원을 금지하는 한편 △지방의원 정책자문위원 배치 △제주발전연구원에 연구요원으로 배치 △읍면동의 기동봉사담당 및 주민자치담당 요원 배치 등의 방법을 통해 해소할 것을 주문했다.
한편 제주도는 이번 중간용역결과를 토대로 의견을 추가 수렴, 내달 2일까지 최종 용역결과를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