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코로나 이전 GDP 상회 예상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이 우리나라 성장률을 크게 웃돌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주요 국가들이 큰 폭의 역성장을 기록한 반면 우리나라는 코로나19에 따른 국내총생산(GDP) 충격에 선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IMF)은 이날 발표한 세계경제전망(WEO)에서 올해 세계 경제가 6.0%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 1월 발표한 직전 전망치(5.5%)보다 0.5%포인트 올라간 수치다.
선진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5.1%, 신흥·개도국은 6.7%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한국 역시 올해 경제에 대한 눈높이는 높아졌으나 성장 전망치 자체는 3.6%로 비교적 낮게 제시됐다.
이는 세계 성장률 전망치를 2.4%포인트 밑도는 수준이다.
미국(6.4%)이나 프랑스(5.8%), 영국(5.3%), 중국(8.4%) 등 개별 국가와 비교하면 차이는 더욱 벌어진다.
그러나 이는 우리나라 경제가 지난해 코로나19 충격을 상대적으로 잘 막아냈기 때문이라는 것이 기재부의 설명이다.
지난해 성장률이 큰 폭으로 꺾인 나라일수록 올해 성장률이 큰 폭으로 반등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선진국 그룹의 경우 지난해 -4.7% 역성장을 기록한 뒤 올해 5.1% 성장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유로존도 올해 성장률 전망치 자체는 4.4%로 우리나라보다 높지만, 지난해 성장률이 -6.6%에 그치면서 실제로는 2019년 GDP 수준을 회복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1.0% 역성장 이후 올해 3.6% 성장이 전망됐다.
2019년 GDP 규모를 100으로 놓고 생각할 때 우리나라 올해 GDP는 102.6으로 코로나 위기 이전 수준을 상회하게 된다.
올해 주요 20개국(G20) 중 2019년 GDP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 선진국은 미국과 한국, 호주 등 3개국뿐이었다.
박민주 기재부 국제통화팀장은 “상당수 다른 나라의 경우 지난해 큰 폭의 GDP 위축을 경험하면서 올해 그 반사효과로 높은 성장률이 전망됐다”며 “우리는 지난해 경제 위축을 최소화한 데 이어 올해도 안정적인 회복세를 이어갈 전망”이라고 말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