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 16주년 언택트로 기념식
김이배 대표 “다른 사업도 모색”
김이배 대표 “다른 사업도 모색”

제주항공이 위기를 넘어 포스트코로나 선도기업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화물 운송 사업 등 새로운 사업 분야에 대한 도전 가능성을 시사했다.
창립16주년을 맞아 언택트로 진행된 창립기념식에서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이사는 “기단 규모를 축소 및 재조정하고, 항공운송 등 핵심역량이 아니었던 사업분야에서도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2021년은 제주항공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임직원들에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유연성, 끊임없는 도전, 구성원간 배려와 협력’을 당부했다.
김 대표는 “차별성을 만들어내기 위한 도전은 끊임없이 이뤄져야 한다”며 “변화는 오직 도전하는 자에게만 기회가 된다”고 말했다. 특히 PSS의 교체를 위해 IT부문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약어 소개는 정확히 해주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PSS(Passenger Service System), 여객서비스시스템.
그리고 제주항공의 말만 액면 그대로 옮겨 기사에 내보내지 마시고 실제 배경이나 원인 등 취재가 더 있으면 좋겠습니다. IT부문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한다고 하면 제주항공이 무슨 혁신을 위한 투자를 하고 있는것처럼 보이는데 실제는 그냥 기존 서비스시스템 프로그램 사용연한이 다 돼서 바꾸는 거에요.
기존 PSS 서비스 사업자인 SITA사가 사업철수를 통보해 2021년까지만 AS를 한다고 해서 어쩔수없이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해야 하는 상황에 불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