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성장률 -3% 내외 추정

지난 한해 코로나19 여파로 큰 어려움을 겪었지만 2021년 제주 경제 성장률은 3% 수준에 달할 전망이다.
한국은행 제주본부는 7일 발표한 ‘제주경제 브리프’를 통해 올해 성장률을 이같이 내다봤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역대 최저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지난해(-3%내외)와 코로나19위기 이전인 2019년 0.9%대 수준을 큰 폭으로 웃도는 수치다.
△ 2021년 제주경제 여건
한은 제주본부는 올 한해 제주경제 성장률을 3%로 예상했다. 코로나19가 변수로 남아있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및 코로나19 백신 보급이 효과를 나타냄에 따라 서비스업 여건이 개선되고 제조업 생산도 늘어날 것이란 기대가 근거다.
특히 올해도 상당기간 해외여행이 제약되면서 내국인 관광객 증가와 소비심리 개선에 힘입어 관광 및 서비스업이 완만한 회복세를 나타낼 전망이다. 하반기 중에는 백신 접종 등으로 국가 간 이동제한조치가 완화될 경우 외국인 관광객의 입도가 재개될 가능성도 있다.
다만 인구순유입 둔화, 건설투자 부진 등 성장 동력 약화는 추가적인 성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향후 관광업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는 동시에 새로운 성장 동력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 2020년 제주경제 평가
2020년 제주경제는 코로나19로 하늘길이 막히면서 관광객 감소로 관광 서비스업이 크게 제약되고 건설업도 부진을 이어가면서 -3% 내외의 성장률을 나타낸 것으로 추정된다.
관광산업 위기와 더불어 소비심리 위축은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운수업 및 사업서비스업 등 주요 산업의 성장률 및 판매지수 감소로 이어졌다.
제조업의 경우 소비제약으로 생산지수 및 성장률이 감소했으며, 건설업 역시 지난해 착공면적이 축소되고 미분양 주택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했다.
반면 농림어업은 장마 태풍 등 기상악화로 일부 채소류 가격이 급등하고, 축산물 및 수산물 생산이 돈육, 갈치 등을 중심으로 증가하면서 전년동기대비 출하액 등이 증가했다.
고용지표는 서비스업 및 건설업의 부진으로 취업자수가 전년동기대비 감소로 전환됐으며, 소비자물가는 농산물을 중심으로 소폭 상승(2019년0.3% → 2020년 0.4%)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