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자금 첫 68조 넘어…“단기조정” 전망도

6일 사상 처음으로 3,000선을 돌파한 코스피는 어디까지 올라갈 수 있을까.
삼성증권, 한국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등 주요 증권사들은 최근 올해 코스피 전망치 상단을 3,000 이상으로 상향 조정하면서 코스피가 더 상승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삼성증권은 지난 4일 올해 코스피 전망치를 2,700∼3,300으로 제시했다. 두 달 전의 예상치 2,100~2,850에서 크게 올라간 수준이다.
삼성증권은 “코스피 영업이익 추정치 상향조정이 줄을 잇고 있다”며 “시장은 2020년 180조원대 안착에 이어 2022년엔 역사상 최고치이자 반도체 슈퍼 사이클의 정점이었던 2018년(197.4조)을 넘어선 218조원 달성 (전망을) 빠르게 선반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 글로벌 리플레이션 트레이딩(장기 채권을 팔고 주식을 매수하는 거래) 기류 강화, 외국인과 개인의 수급 선순환 구도 정착 등도 전망치 수정의 주된 이유였다.
한국투자증권도 지난해 말 2,620∼3,100으로 전망치를 높였다. 한국투자증권은 “각종 지표를 보면 증시는 버블 국면에 진입한 게 맞다”라면서도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기 위한 부양책과 백신을 감안하면 상승 랠리는 좀 더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신한금융투자도 국가 위험 감소, 주주 환원 확대, 신성장산업으로의 구조적 변화 등으로 코스피의 평가 가치가 올라갔다며 2,500∼3,300으로 제시했다.
한편으로는 단기간 ‘과열’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도 나온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버핏지수’(국내총생산 대비 전체 상장주식 시가총액의 비율)가 추세에서 표준편차를 벗어난 국면”이라며 “이런 국면은 2000년대 이후 IT 버블, 2008년 금융위기 등 두 번에 불과할 정도로 쉽게 오는 국면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주가가 기초여건이 올라오는 속도에 비해서 지나치게 빠르게 올라갔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과열권에 진입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