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발 '변이' 바이러스 국내서도 확인…“전염력 70%↑”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 국내서도 확인…“전염력 70%↑”  
  • 제주매일
  • 승인 2020.12.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국서 환자 폭증 원인으로 지목  

치명률 높다는 보고 아직 없어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 입국장에서 방호복을 착용한 관계자들이 해외입국객을 안내하고 있다. [연합]

 영국에서 유행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국내에도 유입된 것으로 28일 확인되면서 이 바이러스의 실체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아직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모든 사실이 규명되지 않았으나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 속도가 빠른 것으로 확인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영국 현지에서는 최근의 코로나19 환자 폭증 원인으로 변이 바이러스가 지목되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영국에서 확산하기 시작해 국내에도 유입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는 지난 9월 영국 잉글랜드 남동부에서 처음 출현했다.

이후 영국 정부가 지난 14(현지시간) 세계보건기구(WHO)에 유전자 분석을 통해 확인한 변이 바이러스를 보고하면서 전 세계의 이목이 쏠렸다. 당시 영국 정부는 코로나19 환자의 급격한 증가세가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했다.

'변종'은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유전자 분석 결과 아예 종이 다른 바이러스가 아니라 기존에 유행 중인 코로나19 바이러스에서 분화한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변종 바이러스라면 유전자의 특성까지 바뀌어야 하므로 아직 변종이라고 하긴 어렵고, 변이 수준"이라고 봤다.

영국에서 진행된 조사에 따르면 현재 확산하는 변이 바이러스는 기존 바이러스 대비 전파력이 4070% 크고, 확진자 1명이 몇 명에게 병을 전파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인 감염 재생산지수를 최대 0.4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감염 재생산 지수는 1을 초과하면 '유행 지속', 1 미만이면 '발생 감소'를 의미하므로 0.4 높아질 경우 확산 속도가 크게 빨라질 수 있다.

변이 바이러스가 기존 바이러스에 비해 치명률이 높다는 보고는 나오지 않았다.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변이할수록 전파 속도나 감염력은 높아지지만 치명률은 낮아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연합]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