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가법 대상vs단순 폭행"
![이용구 법무부 차관.[연합]](/news/photo/202012/214775_68110_5712.jpg)
이용구 법무부 차관이 취임 전 택시 기사를 폭행하고도 처벌을 받지 않은 사건을 두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단순 폭행죄 처리 방침에 따라 사건을 내사 종결한 경찰의 처분이 적절했는지를 놓고 법조계에서는 의견이 갈렸다.
검찰 형사부장 출신의 한 변호사는 20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택시 기사를 폭행한 경우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폭행죄를 적용하는 게 일반적"이라고 말했다.
앞서 서울 서초경찰서는 지난달 초 서초구 한 아파트에서 잠든 자신을 깨우려던 택시 기사의 멱살을 잡은 이 차관을 형사 입건하지 않고 내사 종결했다.
실제로 경찰은 운전 중인 자동차 운전자 폭행을 가중처벌하는 특가법을 따르지 않고 형법상 단순 폭행 혐의를 적용했다.
경찰 관계자는 "'공중의 교통안전과 질서를 저해할 우려가 없는 장소에서 계속된 운행 의사 없이 자동차를 주·정차한 경우는 운전 중이 아니다'라는 취지의 2017년 헌법재판소 결정이 있었고, 이를 통해 내사 종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단순 폭행죄 적용에 법리적 문제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
서초동의 한 변호사는 "특가법 취지는 다른 운전자나 승객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경우에 가중 처벌한다는 것"이라며 "도로에서 떨어진 곳에 정차했고, 기사가 운전석에서 내린 후 사건이 발생했다면 폭행죄를 적용하는 게 맞다"고 주장했다. [연합]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