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제주愛 바다愛]제주 해양쓰레기 수거에서 ‘줄이기’로 바뀌어야
[기획-제주愛 바다愛]제주 해양쓰레기 수거에서 ‘줄이기’로 바뀌어야
  • 강동우 기자
  • 승인 2020.12.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8. 대안은 무엇인가 - 바다가꾸기 현장 교육 

비용·수거 난이도 등 육상쓰레기에 비해 최고 7배나 높아 

범도민적 바다정화활동 상시화 및 글로벌네트워크도 시급

제주도내의 해양쓰레기 수거 전담인력은 지난해 말 현재 184명이다. 해양쓰레기로부터 제주바다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가 병행되어야 한다.

첫째, 기존에 버려진 쓰레기를 수거하는 것이고, 둘째가 해양으로 배출되는 쓰레기의 양을 줄이는 것, 마지막으로 국내·외의 정부는 물론 각 지자체와의 협력 및 과학적 관리 강화가 그것이다.

해양쓰레기는 염분과 수분이 일반 육상쓰레기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아 일단 육상기인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면 그 처리비용과 수거의 난이도는 상승하게 된다.

해양수산부의 분석결과 평균 수거.처리 단가를 보면 육상쓰레기는 톤당 21만원인데 비해 해안쓰레기는 톤당 35만원, 침적쓰레기는 149만원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해양쓰레기 처리비용이 육상쓰레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거 난이도와 비용이 상승함에 따라 제주도는 기존 수거중심의 관리로는 해양쓰레기의 근본적 저감에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쓰레기 투기 예방위주로의 정책 전환에 나서고 있다.

해양쓰레기 수거는 현재 해수부에서 주관하고 있지만 관광산업의 비중이 큰 제주지역의 특성을 감안, 제주도 해양수산당국도 적극 나서고 있지만 예산 등의 뒷받침이 없어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실제로 균특사업으로 추진 중인 해양쓰레기 정화사업은 올해 143천만원의 예산이 배정됐지만 내년에는 7억원으로 절반으로 뚝 깎임에 따라 내년도 해양쓰레기 수거사업이 제대로 진행될 수 있을지 미지수이다.

이와함께 최근들어 해양스포츠와 레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쓰레기를 바다에 버리는 행위도 많아지고 있어서 이에 대한 계도활동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지난 1024일부터 1121일까지 총 3회에 걸쳐 환경재단 등과 함께 진행한 ‘2020 제주쓰담 해안쓰레기 정화 및 브랜드 조사결과를 보자. 이 조사는 제주시 내도동 알작지 해변과 제주시 김녕해수욕장 일원에서 진행됐고 총 86명의 도민이 참여해 232.5의 해안쓰레기를 수거했다. 이 과정에서 제품명과 제조사명을 확인할 수 있는 플라스틱 쓰레기 190개의 사례를 수집해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발견된 해안쓰레기의 제조사는 제주삼다수였다. 이어 하이트진로의 참이슬, 3위는 동아오츠카의 마신다와 동서식품의 맥심 커피믹스였다.

이는 바다에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시민들이 쓰레기를 제대로 분리 배출하는 것이 먼저이고, 기업들 역시 포장재 비닐과 플라스틱 사용 자체를 줄이는 일이 중요함을 새삼 일깨워 주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현재 제주도내에서 범도민적인 운동으로 펼쳐지고 있는 오름가꾸기를 제주바다에 적용해 보는 대안도 필요한 시점이다.

실제로 제주매일이 주최했던 ‘1학교 1바다 가꾸기 바다정화체험을 모태로 한 범도민적인 바다정화활동이 상시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지난해 펼쳤던 바다정화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은 이구동성으로 직접 바다 쓰레기를 보니 TV에 나왔던 바다거북의 뱃속에서 플라스틱이 나왔던 모습이 다시 떠올랐다거나 바다가 더러워진 모습을 보면 속상하고 안타깝다는 체험소감을 밝혔다.

학생들은 특히 제주바다 환경의 중요성을 체험했고 계속 참가하고 싶다고 밝혀 주말마다 각 학교별로 제주바다 가꾸기 바다정화체험을 통해 바다환경 보호는 물론 이들 자라나는 학생들이 쓰레기 저감운동에도 자연스럽게 함께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올해에는 코로나19 등의 요인으로 바다정화 활동을 못했지만 내년부터는 학교를 포함해 각 직장과 마을단위로 바다환경 정화를 위한 모임을 만들고 이를 지원하는 행정당국의 예산이 뒷받침 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밖에 해양쓰레기는 지역이나 국경을 초월해 흘러다니는 만큼 제주도를 비롯한 국내의 각 지자체는 물론 중국과 일본의 지자체와의 네트워크를 통해 조류를 따라 흘러드는 해양쓰레기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이에대한 처리대책에 대해서도 협력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