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 5개 국가지정 문화재에 포위돼
현실적으로 '제대로 된 개발사업' 불가
“왜 우리라고 7대 선도프로젝트 사업의 하나이면서 대표적 국책사업인 서귀포 관광미항 개발사업을 하고 싶지 않겠나”
“결국 재심의 신청을 내더라도 현실적으로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거의 없는데다 설령 승인이 나더라도 극히 제한적인 사업밖에 할 수 없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서귀포 관광미항개발사업을 잘 알고 있는 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의 한 관계자는 사견임을 전제로 이같이 실토했다.
현실적으로 서귀포항에 대한 대규모 개발은 둘째치고 소규모 개발조차 쉽지 않다.
왜냐면 서귀포항을 둘러싸고 있는 국가지정 문화재들 때문이다.
서귀포항 일대에는 서귀포층 패류화석, 무태장어 서식지, 천지연난대림 지대, 문섬과 범섬 천연보호구역, 연란호 군락지 등 국가지정 문화재가 5개 있다.
사실상 이들 국가지정 문화재는 서귀포항을 모두 점거해 이를 뚫고 개발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 문화재청의 판단이다.
더 나아가 이같은 문화재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서귀포항 주변에 대형 건물을 신축하기조차 어렵다.
이같은 현실적 입장을 토대로 국제자유도개발센터는 지난해 이 사업을 백지화하고 대신 대체사업으로 ‘웰빙테마타운’사업을 들고 나온 것이다.
그런데 사업시행자인 개발센터가 관광미항 개발사업 백지화를 들고 나오자 곧바로 서귀포시민들의 반발이 잇따랐으며 이를 기다렸다는 듯 제주도와 서귀포시는 ‘계획대로 추진’을 강조하면서 개발센터와 대립각을 세웠다.
결국 이 문제는 제주도와 서귀포시의 의견이 부각되면서 지난연말 서귀포시가 우선 항만개발사업에 따른 문화재 영향평가를 우선 실시한 뒤 이를 토대로 관광미항 개발사업을 추진한다는 쪽으로 결론이 내려졌다.
이에따라 개발센터 역시 이같은 여론에 떠밀려 결국 올해 사업계획 발표형식을 빌려 관광미항개발사업 재추진 입장을 밝히게 된 것이다.
한편 이와는 별도로 개발센터는 올해 사업예산 2367억원을 확정했다고 1일 밝혔다.
개발센터는 올해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라 첨단과학기술단지와 휴양형 주거단지, 신화역사공원 등 3대 핵심 선도프로젝트를 중점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올해 개발센터의 사업예산은 지난해 2182억원 보다 185억원 증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