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행방불명인 재심 청구…“아버지 돌아가신 날짜 몰라 생일에 제사”
4·3 행방불명인 재심 청구…“아버지 돌아가신 날짜 몰라 생일에 제사”
  • 임아라 기자
  • 승인 2020.11.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3일 4·3 행방불명인 재심청구인들이 법정에 들어서고 있다.
23일 4·3 행방불명인 재심청구인들이 법정에 들어서고 있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날짜도 몰라서 생일에 제사를 치렀다. 내 소원은 모든 분들의 누명을 벗어주시고 명예회복만을 바란다” 4·3사건 행방불명인 재심 청구 소송 청구인 김용자 할머니는 법정에서 간곡히 호소했다. 

23일 제주지방법원 제2형사부(재판장 장찬수) 201호 법정에서 4·3사건 행방불명인 김덕윤, 김명환씨 등 40명에 대한 재심 청구 소송 심문 절차가 진행됐다. 

이날 재심청구인 고 김덕윤씨의 딸 김용자 할머니(82)를 비롯한 행불인 유족 김명춘(83) 할아버지 등이 재판장에 증인으로 나섰다. 

증언에 나선 김 할머니는 “가족들이 다 자고 있던 새벽에 군인들이 들이닥쳐 총·칼을 내놓으라며 온 집안을 뒤지고 아버지를 데려갔다”고 당시 상황을 회상했다. 이어 “화북지서에서 온 사람들이 ‘이 분의 아버지는 죄가 없고 이름이 같은 다른 사람으로 착각한 것 같다’며, ‘그 분을 데리고 오면 풀어주겠다’고 해서. 어머니와 친척분을 찾아갔으나 그 분은 이미 돌아가셨다”고 말했다. 

이후 “대전형무소에서 잘 있으니 동생을 잘 돌보고, 어머니 말씀을 잘 들으라는 내용의 편지가 왔고, 나중에 진주 형무소에서 ‘얼마 안 있어서 풀려날테니 집안에 있는 본인의 물건을 잘 보관하고 있으라’라는 내용의 편지를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소식이 끊겼다”고 증언했다. 

그 이후 행방을 묻는 심문에 “한 어르신에게 ‘대전형무소부터 함께 투옥한 사람에게 들었다’며 ‘아버지께서 바다에서 총살을 당하셨다’는 소식을 전해들었다”고 말했다. 

김 할머니는 고인이 언제 돌아가셨는지 아무런 정보가 없어 생일에 제사를 지내다가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나서는 어머니 기일에 맞춰 제사를 치르고 있다.

한편 재판은 4·3 당시 국방경비법 등 위반 혐의로 불법 군사재판을 받고 행방불명된 희생자들의 재심 청구로 피고인이 300여명에 달해 순차적으로 재판을 진행하고 있다. 제주지법은 심문 절차와 진상보고서, 수형인 명부 등을 통해 재심 개시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