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난 돌파' 공공임대 11만4000채 공급
'전세난 돌파' 공공임대 11만4000채 공급
  • 제주매일
  • 승인 2020.11.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 중형 임대…2025년까지 6만3천가구 공급

정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 방안' 발표

 

 

아파트 단지 [연합]
아파트 단지 [연합]

 

 

정부가 전세난을 타개하기 위해 향후 2년간 다세대, 빈 상가 등을 활용한 공공임대 114100가구를 공급한다.

내년부터 중산층 가구도 거주할 수 있는 30평형대 중형 공공임대가 본격 조성된다. 2025년까지 63천가구를 확충하고 이후에는 매년 2만가구씩 공급한다.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서울시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세수요의 매매 전환, 유동성 공급 등 수요 관리형 전세 대책은 가급적 배제하고 주택 재고 총량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임대주택 공급 확충에 주력했다"고 말했다.

정부가 2022년까지 공급하기로 한 공공임대는 전국 114100가구이며, 수도권에는 71400가구가 나온다. 서울에만 공급되는 공공임대는 35300가구다.

전세난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내년 상반기 중으로 물량의 40%가 넘는 49천가구의 공공임대를 공급한다. 수도권에 공급되는 물량은 24천가구이며 서울에서만 9천가구가 나온다.

민간건설사와 매입약정을 통해 다세대, 오피스텔 등 신축 건물을 사전에 확보하는 방식으로 공급되는 매입약정 주택도 2025년까지 서울 2만가구 등 44천가구가 공급된다.

국토부는 '공공전세'라는 새로운 개념의 공공임대를 도입해 2022년까지 18천가구를 공급한다.

국토부는 빈 상가와 관광호텔 등 숙박시설을 주택으로 개조해 2022년까지 전국 13천가구의 공공임대를 공급할 예정이다. 서울에서 확보하는 물량은 5400가구다.

이를 위해 유형통합 공공임대 소득 구간이 중위소득 130%에서 150%로 확대되고 주택 면적 한도도 60에서 85로 넓어진다. [연합]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