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장애인인권포럼 모니터링 제주 주민센터·우체국 휠체어 장애인 접근권 ‘외면’ 접근성·편의성 평가 ‘낙제점’
제주장애인인권포럼 모니터링 제주 주민센터·우체국 휠체어 장애인 접근권 ‘외면’ 접근성·편의성 평가 ‘낙제점’
  • 김영순 기자
  • 승인 2020.11.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애인 편의시설이 부적절한 사례

 

제주지역 주민자치센터와 우체국 청사시설은 장애인의 접근성이 상당히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장애인인권포럼(대표 김성완)은 지난 81일부터 910일까지 진행한 ‘2020 편의시설 모니터링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1종근린생활시설인 주민자치센터와 우체국 총 84곳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장애인 당사자로 구성된 모니터링 단원 10명이 대상지 장애인 편의시설 실태를 전수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장애인전용 주차구역으로 적절한 곳은 45(53.5%)이며, 부적절하거나 미설치는 39(46.5%)이다

휠체어의 진입·출입은 적절한 곳이 28(33.3%)이며, 부적절한 곳은 56(69.7%)으로 나타났다.

민원서비스 및 편의제공은 적절이 4(5%)이며, 부적절은 80(95%)에 달했다.

장애인이 접근 가능한 화장실은 8(9.5%)에 그쳐으며 부적절 및 미설치는 80(95%)에 이르렀다.

휠체어 또한 민원창구의 깊이가 0.45m 이상 확보하도록 편의증진법에 정해졌지만 부합하는 시설은 21.4%에 불과했다.

우체국의 경우 점자안내책자를 비치한 곳은 단 한 곳도 없었으며 수어통역이 제공되는 시설도 주민자치센터와 우체국 전체 총 84개소 중 22(26.1%)에 그쳤다.

제주지역 주민자치센터와 우체국에서 장애인 당사자들이 아무런 문제 없이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곳은 5%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