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아시아나 통합 국적항공사 출범
대한항공·아시아나 통합 국적항공사 출범
  • 제주매일
  • 승인 2020.11.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은, 한진칼 증자 참여 “조 회장 경영성과 미흡시 퇴진” LCC들은 단계적 통합…한진칼 KCGI 반발 등 걸림돌

 

정부와 산업은행이 16일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공식화했다.

국내 1, 2위를 합친 '글로벌 톱 10' 통합 국적항공사 출범을 추진하는 것이다.

산은은 16"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통합을 추진한다""통합 국적 항공사 출범을 통해 국내 항공산업의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이날 오전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산경장) 회의를 열어 아시아나항공 정상화 방안을 논의하고 이런 결론을 내렸다.

거래 내용을 보면 산은이 한진그룹 지배구조 최상단에 있는 한진칼에 8천억원을 투입한다.

한진칼은 이 8천억원을 대한항공에 대여한다고 공시했다.

이와 함께 한진칼은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위한 대한항공의 25천억원의 유상증자에 참여한다. 한진칼에 배정된 몫은 7317억원으로 주식 취득 뒤 한진칼의 대한항공 지분율 29.2%가 된다. 주식 취득 예정일은 내년 313일이다.

대한항공은 유상증자 대금으로 아시아나항공에 18천억원을 투입한다. 아시아나항공 신주 15천억원을 인수한다. 주식 취득 뒤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지분율은 63.9%가 돼 최대주주로 올라선다. 주식 취득 예정일은 내년 630일이다.

대한항공은 또 아시아나항공 영구채 3천억원을 인수한다.

산은은 또 양사 자회사인 저비용항공사(LCC) 3(진에어·에어부산·에어서울)에 대해 단계적 통합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거래를 통해 탄생할 통합 국적항공사는 글로벌 항공산업 톱 10 수준의 위상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산은은 설명했다

2019년 여객과 화물 운송실적 기준으로 대한항공 19, 아시아나항공 29위로, 양사 운송량을 단순 합산하면 세계 7위권으로 상승한다.

그러나 통합 과정에서 넘어야 할 산도 많다.

우선 한진그룹 경영권을 두고 조원태 회장과 대립하는 행동주의 사모펀드(PEF) KCGI가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반대하는 점은 커다란 걸림돌이다.

또한 공정위의 기업결합 승인도 필요하다.

공정위가 제주항-이스타항공 합병 등을 승인한 것처럼 아시아나항공을 회생 불가능한 회사로 판단할 경우 대한항공과의 결합을 허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회생 불가'한 회사를 살리고자 산은이 혈세를 추가로 투입한다는 점이 논란이 될 전망이다.

[연합]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