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 초대 제주도의원 선거에 따른 선거구 획정이 막판 일부 지역주민들의 반대로 대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선거구 획정에 반발하는 주민들이 선거거부 및 낙선운동까지 공공연히 제기, 선거구 획정에 따른 후유증이 심각한 양상으로 전개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제주도의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위원장 신행철)는 27일 낮 12시에 제주도청 대회의실에서 5차 회의를 열어 4개 시.군별 선거구를 획정, 위원장의 기자회견까지 계획했다.
그런데 이날 오전11시30분 50여명의 아라동 주민들이 선거구획정위 회의가 열리는 도청 4층 회의실 출입구를 원천봉쇄, 획정위원들의 출입을 실력으로 저지했다.
추자면 주민들은 상복을 입고, 만장과 관을 들어 도청 청사 진입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이를 저지하는 경찰과 마찰이 빚어지기도 했다.
추자 주민들은 '도민정서 외면하는 선거구 획정 반대한다' '독도는 대한민국 땅, 추자.우도는 제주도 땅' 등의 구호가 적힌 피켓을 들고 "우리들을 전라도로 보내달라"는 등의 구호를 외치며 도청 진입을 시도했다.
추자면과 우도면 도서지역 주민들은 독립선거구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선거 보이콧 등을 주장, 선거 후유증이 불가피 할 전망이다.
이 때문에 선거구 획정위 5차 회의는 이날 오후 5시까지 회의속개 여부조차 결정하지 못한 채 표류해야 했다.
이날 선거구획정위가 열리지 못할 경우 28일부터 설 연휴가 시작돼 법적으로 제주도에 제출해야 하는 오는 31일 시한을 맞출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
현재 추자 우도주민과 아라동 주민들이 선거구 획정 변경을 요구하고 있으나 이들의 주장을 수용할 경우 전체 29개 선거구 획정 기본 구도 자체가 크게 흔들리게 돼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지난 회의에서 제주시 14개, 서귀포시와 북제주군, 남제주군에 각각 5개의 선거구를 배정하고 헌법재판소가 결정한 '3대 1' 인구편차를 존중키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사실상 북제주군 7개 읍.면 중 인구가 적은 추자면(2005년 12월 현재 2818명)와 우도면(1796명)의 독립선거구가 무산됐다
추자면은 한경면에, 우도면은 구좌읍과 함께 각각 한경.추자선거구, 구좌.우도 선거구로 획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최근 제정된 제주도 행정체제 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기초자치단체와 기초의회가 폐지됨에 따라 제주지역은 5.31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광역의원만 선출할 예정인 가운데 선거구 획정은 제주도 조례로 위임됐다.
특별법은 도의원 선거구 획정안을 오는 31일까지 확정해 제주도지사에게 제출토록 하고 있다.
지난 11일 공포된 제주도 행정체제 등에 관한 특별법은 도의원 선거구 획정안을 오는 31일까지 확정해 제주도지사에게 제출토록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