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1인가구 4년새 17.0% 늘며 10가구중 3가구 꼴
제주 1인가구 4년새 17.0% 늘며 10가구중 3가구 꼴
  • 김석주 기자
  • 승인 2020.1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 제주 5년간 인구와 가구의 변화...외국인 85% 급증 2만8000명 이르러
제주 지역 2015~2019년 인구의 변화
제주 지역 2015~2019년 인구의 변화

 

호남지방통계청은 지난 29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간 제주지역 인구와 주택의 변화를 발표했다. 발표내용은 세부적으로 인구 가구 주택 빈집 주택준공 미분양주택 주택담보대출이다. 도민들에게 각 항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인구와 가구의 변화, 주택의 변화, 주택공급 및 매매 변화로 구분해 3차례에 걸쳐 보도한다.

인구의 변화

제주지역 총 인구는 2015605600(304800, 30800)에서 2016623300(314100, 309200), 2017641800(324000, 317700), 2018658300(333000, 325300), 2019665000(336600, 328500)을 보였다. 2019년 제주 총 인구는 2015년에 비해 59400(9.8%) 증가했다.

외국인은 201515100명으로 전체 인구의 2.5%를 차지했다. 외국인은 해마다 늘어 201617500(2.9%), 20172400(3.3%), 201825300(3.9%), 201928000(4.4%)으로 증가했다. 4년사이 12900(85.0%)이나 급증했다.

제주시와 서귀포시로 구분하면 제주시는 2015451800(74.6%), 2016462400(74.2%), 2017472400(73.6%), 2018482900(73.3%), 2019487700(77.3%)이다. 서귀포시는 2015153900(25.4%), 20161611000(25.8%), 2017169400(26.4%), 2018175400(26.7%), 2019177400(26.7%)를 보였다. 서귀포시 인구 증가율이 제주시 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최근 5년간 제주지역 순이동은 2016년을 정점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201514300(제주시 8500, 서귀포시 5800)에서 201614600(제주시 8500, 서귀포시 61100) 201714000(제주시 6500, 서귀포시 7400)을 보였다. 그러나 2018년에는 8900(제주시 5900, 서귀포시 3000)으로 급락했다. 지난해는 2900(제주시 2500, 서귀포시 500)까지 떨어졌다. 순이동은 제주시 보다 서귀포시에서 등락폭이 컸다. 특히 서귀포시는 20177400명까지 순이동이 이뤄졌으나 지난해는 500명까지 줄었다.

제주지역 2015~2019년 외국인 인구의 변화
제주지역 2015~2019년 외국인 인구의 변화

 

가구의 변화

총 가구는 일반가구와 집단가구, 외국인가구로 구분된다.

총가구는 2015224700가구에서 2016234400가구, 2017246500가구, 2018256200가구, 2019261200가다. 4년 새 36400가구(16.2%)가 늘어났다.

외국인 인구가 늘면서 외국인 가구는 20154100가구(1.8%)에서 20164900가구, 20176100가구, 20186900가구, 20197200가구(2.8%)로 꾸준히 늘었다. 4년새 3100가구(75.6%)가 증가했다.

제주 일반가구 대비 1인가구 구성비 변화
제주 일반가구 대비 1인가구 구성비 변화

 

일반가구에서는 1인 가구 증가폭이 컸다. 1인 가구는 201558400가구(26.5%)에서 20166288가구, 201768700가구를 기록하더니 201873300가구로 7만 가구를 넘어섰다. 지난해는 75400가구까지 늘면서 총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9.7%까지 증가했다. 10가구중 3가구꼴이다. 2015년에서 20194년새 1인가구는 1700가구가 늘면서 증감률은 17.0%를 기록했다.

제주시는 2015166500가구에서 2016172500가구, 2017179800가구, 2018185800가구, 2019189700가구로 늘어났다. 서귀포시는 201558200가구에서 201662000가구, 201766700가구, 20187400가구, 201971500가구로 증가양상을 보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