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적 북 조성길 3국 거쳐 작년 7월 한국 입국
잠적 북 조성길 3국 거쳐 작년 7월 한국 입국
  • 제주매일
  • 승인 2020.10.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인과 함께 국내서 보호 중
국정원 “확인해줄 수 없다”
조성길 망명설에 입닫은 북미…회담 의식? (CG)  [연합
조성길 망명설에 입닫은 북미…회담 의식? (CG) [연합

 

201811월 돌연 로마에서 잠적해 서방 망명설이 돌았던 조성길 전 주이탈리아 대사대리가 지난 7월 한국에 입국해 당국의 보호를 받고 있는 것으로 6일 알려졌다.

북한의 고위급 외교 인사가 한국 망명을 택했다는 점에서 남북 관계에도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국회 정보위 국민의힘 간사인 하태경 의원도 "조 전 대사대리를 당국이 보호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다른 관계자는 입국 사실이 1년 넘게 공개되지 않은 데 대해 "조 전 대사대리가 신변 보호를 위해 입국 사실을 철저히 비공개로 해달라고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와 관련해 국정원 관계자는 통화에서 "확인해줄 수 없다"고 밝혔다.

조 전 대사대리는 20179월 북한의 6차 핵실험을 이유로 이탈리아 정부가 문정남 당시 주이탈리아 북한 대사를 추방한 이후 대사대리를 맡았다.

그는 아버지와 장인 또한 북한에서 대사를 지낸 엘리트 외교관 집안 출신으로 영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등 4개 국어에 능통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조 전 대사대리가 201811월 초 임기 만료를 앞두고 종적을 감추면서 그의 행방에 국제사회의 관심이 집중됐다.

당시 잠적한 이유는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으나 이탈리아 등 외국 정부의 신변 보호를 받으며 제3국으로 망명을 타진 중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조 전 대사대리의 한국행은 1997년 황장엽 전 노동당 국제비서 이후 20여년 만의 북한 최고위급 인사의 한국 망명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2011년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집권한 뒤 북한 대사급 외교관이 망명한 사례는 조 전 대사대리가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정일 국방위원장 집권기인 1997년에는 장승길 이집트 대사와 형 장승호 프랑스 경제참사관이 미국 망명을 택한 바 있다.

참사관급이나 공사급 중에서는 2016년 태영호 당시 영국대사관 공사가 한국 망명을 택했다.

[연합]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