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분간 필수인력만…‘좁은문’
당분간 필수인력만…‘좁은문’
  • 정흥남 기자
  • 승인 2006.01.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향후 공무원 채용 전망은?
4개 시.군이 통합된 뒤에도 과연 세자리수 이상의 공무원을 신규로 뽑을 수 있을 것인지 제주도 인사부서는 이에 대해 즉답을 회피하고 있다.
이는 역설적으로 당분간 대규모 충원은 곤란하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의미하는 것이다.
과연 50만명이 도민들을 관리하게될 특별자치도의 행정 공무원수는 어느정도가 적정수준인가.
현재 제주도와 4개 시.군의 공무원 정원은 4388명이다.
그런데 이같은 공무원들 가운데 당장 오는 7월부터 시.군이 폐지돼 제주시와 북제주군이 하나의 행정시로 통합되고 서귀포시와 남제주군이 역시 행정시로 통합된다.
이 경우 현재 양 기관 유사부서의 통합과 이 과정에서 인력감축은 불가피하게 초래될 수 밖에 없다.
또 시.군의회가 폐지되면서 관련부서 인력도 고스란히 잉여인력으로 전락하게 된다.
이 경우 자연스럽게 시.군 본청을 대상으로 인력 재조정이 이뤄지게 되며 이는 곧 인력감축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물론 제주도 등은 이와 관련, 시.군통합에 따른 주민투표 등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어떤 경우에도 공무원수를 인위적으로 감축하는 일을 없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현재 이같은 분위기 등을 감안할 때 강제적인 공무원 구조조정은 실시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반면 퇴직 및 사퇴 등 공무원 자연감축분을 기존 잉여인력으로 대체하는 대신 신규 인력채용은 극히 제한적으로 실시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는 현재 시.군 통합이 이뤄질 경우 유지해야 할 조직 및 인력 등에 대한 용역을 진행중이다.
이 용역은 내달중 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시.군이 통합돼 행정환경이 급변한다고 해도 주민들의 신규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소방 및 사회복지 분야의 인력을 꾸준하게 신규로 충원될 것이 확실시 된다.
따라서 올해 제주도가 실시하는 263명의 공무원을 신규채용하는 행위는 특별자치도를 앞둔 마지막 ‘대규모 공무원 채용잔캄로 기록될 가능성이 높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