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쏘임 사고 7월부터 9월까지 집중 발생기간
벌쏘임 사고 7월부터 9월까지 집중 발생기간
  • 이애리 기자
  • 승인 2019.07.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벌쏘임 사고가 7월에서 9월 사이 집중됨에 따라 각별한 주의가 당부된다. 사진은 벌집제거 모습

벌쏘임 사고가 7월에서 9월사이 집중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제주소방안전본부가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말벌 등 벌집제거 출동건수는 총 4012건으로 2018년 1466건, 2017년 1232건, 2016년 1314건으로 집계됐다. 벌 쏘임 환자는 68명이 발생했고 올해의 경우 307건 출동했다. 특히 7월부터 9월 사이에 2528건(63%)이 집중 발생해 벌이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는 기간인 것으로 분석됐다. 벌집제거 출동장소는 단독주택에서 1292건(32.2%), 교육ㆍ연구시설에서 719건(17.9%), 공동주택에서 298건(7.4%)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특히 말벌은 꿀벌의 70배에서 500배까지의 독을 가지고 있어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말벌은 후각에 민감해 샴푸, 화장품, 향수 등으로 인해 공격에 노출되기 쉽다. 말벌에 쏘였을 때 어지럽고 목이 간질간질 한 경우는 알레르기 증상으로 쇼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한다. 벌침을 제거할 때는 신용카드 등을 세워서 쏘인 부위를 긁어서 신속히 제거 한 후 흐르는 물에 피부를 깨끗이 씻어내야 한다. 또한 벌집을 발견할 시 자극하지 말고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