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제2공항성산읍반대대책위원회와 제주제2공항반대범동민행동은 9일 오전 10시 30분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가 졸속으로 만들어진 부실투성이라고 비판했다.
제2공항 반대단체는 이날 국토부의 전략환경영향평가서 분석결과를 발표하면서 “먼저 ADPI는 제주공항의 보조 활주로를 교차활주로로 활용하는 대안이 가장 경제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명시했지만 사전타당성 최종보고서에서 누락된 사실이 밝혀졌다”며 “더군다나 사전타당성 검토 당시 장기수요에 비해 수용예측 자체가 현저하게 축소됐음을 고려할 때 제주공항 활용을 통해 장기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가능성이 훨씬 높아진 점을 반영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평가항목별 평가대상지역 설정을 보면 생물다양성·서식지 보전 항목의 공간적 평가범위를 계획지구 경계로부터 300m까지 설정하고 있다”며 “흑산공항이나 울릉공항은 계획지구로부터 2km인데 반해 제2공항은 영향범위를 매우 소극적으로 축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대상지역 조사시기와 횟수에 대해 “사실상 동물상 조사는 1차례, 식물상 조사는 2차례에 불과하다”면서 “동식물상의 분포가 가장 활발한 하계조사는 누락돼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 지역은 하천이 발달하지 않았음에도 홍수피해가 없는 것은 용암지대 특유의 튜물러스와 함몰지, 숨골 등 투수성 지질구조가 발달했기 때문이다”라며 “이곳을 되메우기(매몰)할 경우 강우시 숨골 등을 통해 빗물이 지하로 흡수되는 것을 막아 심각한 물난리가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하수처리계획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이들 단체는 “계획지구에서 발생하는 하수는 하루에 4069㎥로 계획지구 내 하수처리시설(4100㎥/일)을 통해 자체처리 할 계획을 세웠지만 포화용량인 80%를 넘었고 첨두시 하수처리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협의회 회의 당시 환경전문가 2인은 참석하지 않았고 참석한 공무원 중 환경분야는 환경부 협의기관 담당자 1명 뿐이었다”면서 “결국 환경분야 전문가가 부재한 상황에서 협의회 심의가 이뤄지는 졸속 운영의 문제가 있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오는 11일 진행될 전략환경영향평가 주민설명회를 온 몸으로 저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