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유시설 50억-공공시설 22억 투입
전체 피해액 34억…남군 23억 '최고'
이달 들어 제주지방에 몰아친 폭설과 강풍, 풍랑으로 34억7600만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시설피해 복구액은 73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그러나 사유시설의 경우 농업재해대책법에 따른 ‘일반재해’로 우선 복구지원이 이뤄지면서 전체 복구비용 가운데 국비와 지방비 비율이 35%선에 그쳐 피해주민들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는 이달 3일부터 지난 24일까지 발생한 풍랑 강풍 폭설 내습으로 인한 피해복구비가 사유시설 50억5800만원, 공공시설 22억1600만원 등 72억7400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7일 밝혔다
또 이 기간 피해는 사유시설 23억6500만원과 공공시설 11억1100만원 등 모두 34억7600만원이다,
시.군 별로는 제주시 1억7500만원, 서귀포시 5억8700만원, 북제주군 4억원, 남제주군 23억1400만원 등이다.
사유시설은 주택 2채, 어선 3척, 가축 192마리, 축사 24동, 수산증.양식시설 6곳, 비닐하우스 87동 등으로 집계됐다.
이재민 구호 자금도 25가구 8300만원이 소요될 전망이다.
공공시설로는 어항시설 5곳, 도로 1곳, 하수처리시설 1곳, 씨감자 생산 하우스 1곳 등으로 집계됐다.
피해복구비는 국고 13억8400만원, 지방비 25억9000만원, 융자 27억3700만원, 자부담 5억4800만원 등 모두 72억7400만원에 이를 전망이다.
이들 복구예산 가운데 국고와 지방비로 지원이 이뤄지는 공공시설의 경우 22억1600만원을 제외할 경우 민간 부분 복구비용은 50억5800만원에 이른다.
이같은 민간부분 복구비용 가운데 국비와 지방비 지원은 17억5800만원으로 전체 소요비용의 35%선에 그쳐 상대적으로 주민들의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을 전망이다.
제주도는 이날 이 같은 자체 피해조사 결과와 복구 계획을 소방방재청에 제출했다고 밝혔다.